저출산·고령사회 …목포시 인구 늘리기 ‘사활’
2021년 08월 24일(화) 18:10 가가
신재생에너지·수산식품 등 3대 미래전략산업 육성
출산·보육 지원 확대·정주여건 개선 등에도 집중
출산·보육 지원 확대·정주여건 개선 등에도 집중
목포시가 인구증가를 위해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인구감소로 일부 지자체는 소멸 위기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으며, 목포도 청년층의 결혼·출산 등 포기, 수도권 이주 등과 인근지역 신도시 개발에 따른 신규 아파트 입주 등이 겹치면서 인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목포시에 따르면 지난 7월말 현재 인구는 22만379명으로 이중 65세 이상 인구는 17.43%로 고령사회(총인구 대비 65세 이상 14~20% 사이)로 진입했다.
지난해 합계 출산율도 0.80%로 전국 0.84%, 전남 1.18% 보다 낮다.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로 인한 자연 감소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최근 5년간 타 지역으로 전출한 인구는 8만6328명으로 이 중 인근 지역인 무안군으로 42%(3만6090명)가 이주했으며, 수도권은 21%(1만8079명)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전출 사유는 가족 및 주거가 48%(4만1938명), 구직이 34%(3만143명) 순으로 나타났다.
통계를 종합해보면 신도시 신규 아파트 입주를 위한 무안군으로의 이주와 구직을 위한 전출이 목포시 인구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파악된다.
그렇지만 전남 서남권 경제의 거점으로서 상시 유동인구는 비슷한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시는 인구 감소를 단순히 인구정책만의 문제가 아닌 지역경계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다양한 접근을 통해 해결방안과 대책을 준비해가고 있다.
일단 무안군의 신규 아파트 입주로 인한 인구 유출은 다소 제동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목포시에서 건축 중인 신규 아파트는 10개 단지 3340세대다. 내년까지 6개 단지 1800세대가 입주할 예정이어서 이는 인구 유입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장기적으로 인구증가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인구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특히 대기업 투자가 기대되는 친환경선박과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을 비롯해 수산식품산업, 관광산업 등 3대 미래전략산업 육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결혼, 출산, 육아, 교육, 청년 일자리 등 전방위적이고 총체적인 대응을 위해 12개 부서에서 인구시책 51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출산지원금을 타 지자체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고 전입축하 기념품 지원 확대, 전입대학생 생활지원금의 목포권 대학 확대 등 인구관련 사업을 강화할 방침이다.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가치를 높이기 위해 생활SOC 확충에도 힘쓴다는 방침이다.
또 민간과 지혜를 결집하기 위해 민·관·학이 함께 ‘범시민 인구대책협의회’를 구성해 종합 진단과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해법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시 차원의 자체적인 노력도 병행하기 위해 ‘인구 테스크포스(T/F)팀’을 별도 구성해 분야별 방안을 강구하고, 올 하반기 조직개편 시 인구정책 전담팀을 별도로 구성할 예정이다.
목포시 관계자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인구 유입을 유도하고, 정주 여건을 개선해 인구 유출을 막는데 중점을 두고 인구문제에 대응하겠다”면서 “목포시에 주소갖기 운동 등 인구증가 시책에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목포=박종배 기자 pjb@kwangju.co.kr
인구감소로 일부 지자체는 소멸 위기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으며, 목포도 청년층의 결혼·출산 등 포기, 수도권 이주 등과 인근지역 신도시 개발에 따른 신규 아파트 입주 등이 겹치면서 인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합계 출산율도 0.80%로 전국 0.84%, 전남 1.18% 보다 낮다.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로 인한 자연 감소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최근 5년간 타 지역으로 전출한 인구는 8만6328명으로 이 중 인근 지역인 무안군으로 42%(3만6090명)가 이주했으며, 수도권은 21%(1만8079명)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전출 사유는 가족 및 주거가 48%(4만1938명), 구직이 34%(3만143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전남 서남권 경제의 거점으로서 상시 유동인구는 비슷한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일단 무안군의 신규 아파트 입주로 인한 인구 유출은 다소 제동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목포시에서 건축 중인 신규 아파트는 10개 단지 3340세대다. 내년까지 6개 단지 1800세대가 입주할 예정이어서 이는 인구 유입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장기적으로 인구증가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인구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특히 대기업 투자가 기대되는 친환경선박과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을 비롯해 수산식품산업, 관광산업 등 3대 미래전략산업 육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결혼, 출산, 육아, 교육, 청년 일자리 등 전방위적이고 총체적인 대응을 위해 12개 부서에서 인구시책 51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출산지원금을 타 지자체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고 전입축하 기념품 지원 확대, 전입대학생 생활지원금의 목포권 대학 확대 등 인구관련 사업을 강화할 방침이다.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가치를 높이기 위해 생활SOC 확충에도 힘쓴다는 방침이다.
또 민간과 지혜를 결집하기 위해 민·관·학이 함께 ‘범시민 인구대책협의회’를 구성해 종합 진단과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해법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시 차원의 자체적인 노력도 병행하기 위해 ‘인구 테스크포스(T/F)팀’을 별도 구성해 분야별 방안을 강구하고, 올 하반기 조직개편 시 인구정책 전담팀을 별도로 구성할 예정이다.
목포시 관계자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인구 유입을 유도하고, 정주 여건을 개선해 인구 유출을 막는데 중점을 두고 인구문제에 대응하겠다”면서 “목포시에 주소갖기 운동 등 인구증가 시책에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목포=박종배 기자 pjb@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