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진(西進) 정책
2021년 05월 12일(수) 05:30 가가
국민의힘이 ‘서진(西進) 정책’에 또 시동을 걸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당을 떠났음에도 그가 추진해 왔던 ‘호남 끌어안기’가 지금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서진 정책’은 한반도 동쪽인 영남의 정치 세력이 서쪽의 호남 정치 세력을 끌어안는다는 뜻으로 언론이 주로 사용하는 용어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해 8월 국립 5·18 묘지에서 무릎을 꿇고 광주 시민들에게 사과한 데 이어 같은 해 11월 및 지난해 3월 등 세 차례 광주를 방문했었다. 특히 김 위원장은 5·18 묘지에서 ‘무릎 사과’를 한 최초의 보수 정당 대표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를 ‘정치적 쇼’라고 폄하하기도 했다.
물론 일부에서는 이들의 작은 변화에 관심을 갖기도 했지만, 이후 국민의힘은 ‘5·18 관련 특별법 개정’ ‘한전공대 특별법’ 등 지역 현안(법안)에 대해 사사건건 트집을 잡았다. 그러니 역시나 ‘쇼’였다는 지역민들의 평가가 나오는 것은 당연했다. 지금도 이들의 ‘서진 정책’을 믿지 못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색안경을 쓰고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이 새로운 원내 지도부 구성과 함께 또다시 ‘서진 정책’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 김기현 원내대표 겸 대표 권한대행이 지난 7일 원내 지도부와 함께 곧바로 광주와 전남을 찾아 지역 현안 등을 챙겼다. 초선의원들 역시 지난 11일 국립 5·18 묘지 참배와 함께 묘역 환경 정화 운동을 펼치는 등 진정성을 보이려고 애를 썼다. 과거 초선 의원들이 극우 보수 세력에 기대어 5·18을 폄훼하고 왜곡해 온 것과는 많이 달라진 모습이다.
이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보수에서 중도까지 노선 확장을 꾀하는 한편 ‘도로 영남당’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한 정치적 전략으로 해석된다. 중요한 것은 국민의힘의 ‘서진 정책’에 정치적 전략이 아닌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동안 진보 대 보수 또는 영남 대 호남의 갈등을 조장하며 누렸던 과거 보수 정당에서 벗어나 국민 통합과 화합 및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한 정치 세력으로 거듭난다면 그때 비로소 지역민들도 박수를 보내게 될 것이다.
/최권일 정치부 부장 cki@
물론 일부에서는 이들의 작은 변화에 관심을 갖기도 했지만, 이후 국민의힘은 ‘5·18 관련 특별법 개정’ ‘한전공대 특별법’ 등 지역 현안(법안)에 대해 사사건건 트집을 잡았다. 그러니 역시나 ‘쇼’였다는 지역민들의 평가가 나오는 것은 당연했다. 지금도 이들의 ‘서진 정책’을 믿지 못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색안경을 쓰고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최권일 정치부 부장 c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