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수십억 지원 받고도…목포시내버스 1년 휴업 신청 ‘비난’
2021년 05월 02일(일) 20:00 가가
코로나 19 장기화로 승객감소·임금인상 등 적자 누적 이유
시민의 발 볼모 공공성 무시 무책임 처사 “사업권 박탈해야”
목포시 “의회·재정심의위와 운행 정상화 방안 등 조속 마련”
시민의 발 볼모 공공성 무시 무책임 처사 “사업권 박탈해야”
목포시 “의회·재정심의위와 운행 정상화 방안 등 조속 마련”
목포지역 시내버스 회사가 수익 적자 등을 이유로 돌연 1년간 휴업을 신청해 논란을 빚고 있다.
목포시에 따르면 최근 (주)태원여객·유진운수가 오는 7월1일부터 내년 6월30일까지 1년간 휴업을 신청했다.
이들 회사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승객감소와 임금인상, 지난해 기준 43억원의 손실 등을 휴업의 이유로 꼽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목포 태원여객과 유진운수는 명칭만 다를 뿐 한 회사로 지역 토착기업인 이한철 현 목포상공회의소 회장이 대표를 맡고 있다.
그동안 회사의 수익 악화로 적자가 누적돼 경영이 어렵다는 회사측의 주장에 재정적자 보전 등 연간 수십억원의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전남도와 목포시로부터 적자노선 보전 비용 명목으로 매년 20억~30억원, 저상버스 도입 등 각종 보조금 명목으로 매년 60여억원 가까이 지원되고 있다.
올해도 코로나로 학교가 휴업하는 등 승객이 줄자 공공강화 재정지원이란 명목으로 추가로 24억원을 더 지원했다.
연간 수십억원의 재정지원을 받고 있는 목포 시내버스 회사가 공공성을 무시한채 무책임하게 휴업을 결정하자 비난의 수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정의당 목포시위원회는 그동안 이 회사의 운영 행태를 꼬집었다. 경영상의 이유를 들어 목포시를 압박해 지원금을 타 가는 사례가 부지기수라는 것이다.
또 노사간 임금협상을 통한 임금인상분을 지급하지 않아 노동자들이 파업을 하면 경영상의 이유로 임금을 줄 수 없으니 목포시가 추가로 지원을 해달라고 떼를 써 보조금을 타가는 사례도 있었다고 비난했다.
정의당 목포시위원회는 “공공의 안녕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회사라고 하기에는 너무도 한심스러운 작태가 아닐 수 없다”면서 “휴업 신청을 철회하지 않으면 목포시는 그들의 사업권을 박탈하고, 새로운 공공운수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시민은 “버스회사의 휴업선언은 6월 예정인 목포시의 추경예산안 편성을 앞두고 지원금을 더 받아 내려는 꼼수다”며 “이 회사 대표가 소유하고 있는 신안군 지도읍과 무안군 해제면 일대 염전은 300만평으로 지가만 수천억에 이르며 염전 임대료만도 매년 수십억 원의 수입이 발생하는 등 그동안 버스 운영 등으로 부를 축적했으면서도 사회 기부에는 인색했다. 전국민이 코로나19로 경제적 고통을 분담하고 있는 마당에 회사 적자를 이유로 시민의 발을 묶으려 한다면 퇴출해야 마땅하다”고 분개했다.
이와 관련 태원여객 측은 “적자가 쌓여 더 이상 재정적으로 버틸 여력이 없다”며 “폐업을 하려고 했으나 공공성을 띠고 있어 시에서 대책을 세울 수 있는 기간을 주기 위해 7월 휴업을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목포시 관계자는 “시민의 교통권 보호를 위해 시의회 및 시내버스 재정지원심의위원회 등을 통해 시내버스 운행 정상화 방안 등 향후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목포시는 4일 시의회와 시내버스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회사 측의 입장을 듣는 자리를 가질 계획이다.
/목포=박종배 기자 pjb@kwangju.co.kr
목포시에 따르면 최근 (주)태원여객·유진운수가 오는 7월1일부터 내년 6월30일까지 1년간 휴업을 신청했다.
이들 회사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승객감소와 임금인상, 지난해 기준 43억원의 손실 등을 휴업의 이유로 꼽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동안 회사의 수익 악화로 적자가 누적돼 경영이 어렵다는 회사측의 주장에 재정적자 보전 등 연간 수십억원의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전남도와 목포시로부터 적자노선 보전 비용 명목으로 매년 20억~30억원, 저상버스 도입 등 각종 보조금 명목으로 매년 60여억원 가까이 지원되고 있다.
연간 수십억원의 재정지원을 받고 있는 목포 시내버스 회사가 공공성을 무시한채 무책임하게 휴업을 결정하자 비난의 수위 또한 높아지고 있다.
또 노사간 임금협상을 통한 임금인상분을 지급하지 않아 노동자들이 파업을 하면 경영상의 이유로 임금을 줄 수 없으니 목포시가 추가로 지원을 해달라고 떼를 써 보조금을 타가는 사례도 있었다고 비난했다.
정의당 목포시위원회는 “공공의 안녕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회사라고 하기에는 너무도 한심스러운 작태가 아닐 수 없다”면서 “휴업 신청을 철회하지 않으면 목포시는 그들의 사업권을 박탈하고, 새로운 공공운수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시민은 “버스회사의 휴업선언은 6월 예정인 목포시의 추경예산안 편성을 앞두고 지원금을 더 받아 내려는 꼼수다”며 “이 회사 대표가 소유하고 있는 신안군 지도읍과 무안군 해제면 일대 염전은 300만평으로 지가만 수천억에 이르며 염전 임대료만도 매년 수십억 원의 수입이 발생하는 등 그동안 버스 운영 등으로 부를 축적했으면서도 사회 기부에는 인색했다. 전국민이 코로나19로 경제적 고통을 분담하고 있는 마당에 회사 적자를 이유로 시민의 발을 묶으려 한다면 퇴출해야 마땅하다”고 분개했다.
이와 관련 태원여객 측은 “적자가 쌓여 더 이상 재정적으로 버틸 여력이 없다”며 “폐업을 하려고 했으나 공공성을 띠고 있어 시에서 대책을 세울 수 있는 기간을 주기 위해 7월 휴업을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목포시 관계자는 “시민의 교통권 보호를 위해 시의회 및 시내버스 재정지원심의위원회 등을 통해 시내버스 운행 정상화 방안 등 향후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목포시는 4일 시의회와 시내버스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회사 측의 입장을 듣는 자리를 가질 계획이다.
/목포=박종배 기자 pjb@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