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밖 다양한 학습장서 진로맞춤 교육
2021년 02월 18일(목) 20:35 가가
마을과 협력하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전남교육청 ‘2030 미래교육 발전방안’ 확정
전남교육청 ‘2030 미래교육 발전방안’ 확정
전남교육청이 학령인구 감소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를 전남미래교육 원년으로 선포함과 동시에 ‘2030 전남미래교육 종합발전방안’을 수립·확정했다.
전남도교육청은 지난해 외부 전문가 10명과 내부 인사 35명으로 긴급대응팀(TF)을 구성, 설문조사·분야 별 세부계획 수립· 공청회 등을 거쳐 발전 방안을 확정했으며 오는 3월 새 학년 시작 전 일선 교육현장에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 교육청이 제시한 미래학교 청사진에 따르면 2030년 전남 학생은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로 변모한 최적화된 학습 환경 속에서 자신의 진로에 맞춰 개별화된 시간표를 구성할 수 있다.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온라인·오프라인·학교 밖 학습장·지역 사회 캠퍼스 등 다양한 장소에서 학습할 수 있다. 국가에서 정한 최소한의 교육과정만 이수하고 자신의 흥미,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면서 자신이 무엇을 배울지 스스로 결정할 수도 있다.
지역사회, 기업 등과 연계한 학교 밖 학습장에서는 도시 스마트농업·메이커 교육·도서교육 등의 수업을 들으면서 프로젝트를 하고 창업을 준비한다.
종합발전방안은 2030년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바탕으로 공동체와 협력,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수 있도록 ‘모두가 빛나는 지속가능한 전남교육’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인간·자치·협력·민주·개방의 기본 철학을 중심으로 학교와 교육청, 마을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상호 협력하는 교육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학생 수 60명 이하의 작은 학교가 전체의 43%가 넘는 지역 특성을 고려해 소인수에 최적화된 미래형 통합운영학교 육성, 무학년 통합학교 등 교육과정의 유연화, 네트워크 학습체제 등 대안적 전략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장석웅 전남도교육감은 “전남미래교육 종합발전계획을 통해 미래역량중심 교육이 실현되는 교실, 공정과 포용의 책임교육, 배움과 삶의 터전이 되는 마을이 되도록 행정과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
전남도교육청은 지난해 외부 전문가 10명과 내부 인사 35명으로 긴급대응팀(TF)을 구성, 설문조사·분야 별 세부계획 수립· 공청회 등을 거쳐 발전 방안을 확정했으며 오는 3월 새 학년 시작 전 일선 교육현장에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온라인·오프라인·학교 밖 학습장·지역 사회 캠퍼스 등 다양한 장소에서 학습할 수 있다. 국가에서 정한 최소한의 교육과정만 이수하고 자신의 흥미,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면서 자신이 무엇을 배울지 스스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학생 수 60명 이하의 작은 학교가 전체의 43%가 넘는 지역 특성을 고려해 소인수에 최적화된 미래형 통합운영학교 육성, 무학년 통합학교 등 교육과정의 유연화, 네트워크 학습체제 등 대안적 전략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장석웅 전남도교육감은 “전남미래교육 종합발전계획을 통해 미래역량중심 교육이 실현되는 교실, 공정과 포용의 책임교육, 배움과 삶의 터전이 되는 마을이 되도록 행정과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