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도 방치 원전 부실시공 책임 소재 가려야
2019년 07월 31일(수) 04:50
최근 영광 한빛원전 격납 건물에서 200개의 크고 작은 공극(구멍이나 빈틈)이 발견되면서 부실시공 논란이 빚어진 바 있다. 한데 아니나 다를까, 정부가 원전 건설 당시부터 부실시공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영광핵발전소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동행동’ 김용국 집행위원장은 최근 광주일보 취재진과 만나 “한빛원전 부실공사가 마치 이제야 확인된 것처럼 알려지고 있는데 영광 주민들은 이미 원전 건설 당시부터 이를 지적했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그 증거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1994년 8월 작성한 ‘영광 원자력 3호기 사용 전 검사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는 ‘격납 건물 라이너플레이트(철판)에 대한 점검 결과 개구부 또는 관통부 주변에 일정 규모 이상 콘크리트 Void(구멍)로 추정되는 위치가 다수 확인됐음’이라고 적시돼 있다.

영광 주민들도 원전 건설 당시부터 원전 측에 부실시공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했지만 전문가가 아니라는 이유로 묵살당했다고 한다. 1994년 국감에서도 이런 내용이 거론됐지만 원전 측은 ‘이상이 없다’는 답변으로 일관했다.

최근 발견된 대형 구멍에 대해 원전 당국은 건설 당시 콘크리트 타설 후 다짐 작업이 불량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부실시공에 건설업체는 물론 원전 운영사와 규제 기관 모두 자유로울 수 없다. 망치로 두드려만 봐도 확인할 수 있는 구멍들을 원전 가동 20여 년이 지나서야 확인했다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

한빛원전에서 부실시공이 잇따라 확인되면서 지역민들의 불안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려 부실 공사의 실태와 원인 및 책임 소재를 가려내고 안전성을 검증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대책을 수립하고 가동 여부도 결정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