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갑질 사망’ 진상규명 연대 움직임 확산
2025년 11월 06일(목) 19:30 가가
민변·유족 “전남대 진상조사 결과 공개하고 재발 방지대책 마련” 촉구
시민단체·노동조합·학생 등 연대…“대학원생 지위 보장” 요구 잇따라
시민단체·노동조합·학생 등 연대…“대학원생 지위 보장” 요구 잇따라
전남대 대학원생 A(24)씨가 갑질 피해를 호소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과 관련, 광주·전남 지역 변호사들이 전남대에 진상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이와 더불어 대학 내 구성원뿐 아니라 광주·전남 시민사회단체와 노동조합 등에서도 유가족들과 연대하겠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 만큼, 전남대도 이근배 총장의 공식 사과와 함께 책임있는 대처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광주전남지부는 6일 광주시 북구 용봉동 전남대 후문 일대에서 A씨 유족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변은 이날 전남대 총학생회, 전국대학원생노조,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등 12개 단체 명의로 성명을 내고 “전남대의 A씨 사망 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민변은 “A씨가 사망한 사건은 대학교 연구실의 구조적 문제와 교수들의 갑질로 인한 젊은 대학원생의 비극이다”며 “학생들의 인권은 보호하고, 교수들의 갑질을 방지해야 할 학교는 학생을 보호하지 못했으며 오히려 ‘전남대만의 문제가 아니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교는 뒤늦게서야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리고,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 인권실태조사를 진행했으나, 그 결과를 밝히지 않고 있으며 진상조사결과보고서의 공개도 미적거리고 있다”고 꼬집었다.
민변은 “더 이상 젊은 대학원생들이 교수들의 갑질과 학교의 무관심으로 고통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연구하고, 제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전남대는 조속히 진상조사결과보고서와 인권실태조사결과를 공개하고, 가해교수들을 징계하고,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견에서는 A씨의 유가족들도 참석해 전남대의 책임을 촉구하고, A씨에 대해 산업재해를 신청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A씨 유가족은 “가해 교수들은 숨진 형을 학생으로도, 사람으로도 보지 않았다. 자신들도 똑같은 길을 걸어왔다던 그들이 잘못된 것을 모를 리 없으면서도 아무렇지 않게 살고 있다”며 “산재 신청을 통해 대학원 교수들이 학생들을 지배하는 구조 관행을 없애고자 한다. 민사, 형사, 학교의 징계 등 모든 절차로 이 잘못을 세상에 새기겠다”고 말했다.
A씨 유가족은 전남대에 진상조사보고서를 정보공개 청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용근로공단에 산재 신청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앞서 A씨 유가족은 지난 3일 전남대 내부 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에도 A씨의 피해 사실을 알리고 산재 신청 계획을 알리는 글을 올렸다. 이 게시물은 3일 사이 765개 ‘공감’을 받으며 인기 게시물로 등록됐다.
해당 게시물 댓글란에서는 A씨 유가족의 아픔에 공감하고 대학원생 지위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연대 의지가 확산하는 분위기가 감지됐다.
한 전남대생은 댓글에 “저 또한 담당교수 때문에 직전 학기까지 오래도록 힘들었기에, 얼굴도 모르는 고인 분의 소식을 듣고 한참을 울었다”며 “유가족들에게 위로를 전하며 평생을 잊지 않고, 도울 수 있는 한 돕겠다”고 썼다.
또 다른 전남대생은 “저 또한 일부 교수들에게 공공연히 고소 언급을 했던 피해자다”며 “산재 인정을 꼭 받아서 좋은 선례가 됐으면 좋겠다. 시대가 바뀐 만큼 의식도 바뀌면 좋겠다”고 댓글을 달았다.
이밖에도 해당 글에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대학원생들의 처우가 개선되길 바란다”, “연대하고 지지한다”, “응원한다”는 등 댓글이 50여개 넘게 달리면서 학생들의 연대가 이어졌다.
한편, A씨는 지난 7월 13일 지도교수 C씨와 연구교수(박사) D씨로부터 과중한 업무를 지시받고 갑질 피해를 당했다는 유서를 남긴 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현재 C씨는 직권남용 혐의로, D씨는 강요 혐의로 입건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C씨는 학생인건비를 회수해 관리토록 하고 논문 저자를 허위로 표시하도록 강요한 혐의 등도 받고 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이와 더불어 대학 내 구성원뿐 아니라 광주·전남 시민사회단체와 노동조합 등에서도 유가족들과 연대하겠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 만큼, 전남대도 이근배 총장의 공식 사과와 함께 책임있는 대처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변은 이날 전남대 총학생회, 전국대학원생노조,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등 12개 단체 명의로 성명을 내고 “전남대의 A씨 사망 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민변은 “더 이상 젊은 대학원생들이 교수들의 갑질과 학교의 무관심으로 고통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연구하고, 제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전남대는 조속히 진상조사결과보고서와 인권실태조사결과를 공개하고, 가해교수들을 징계하고,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견에서는 A씨의 유가족들도 참석해 전남대의 책임을 촉구하고, A씨에 대해 산업재해를 신청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A씨 유가족은 “가해 교수들은 숨진 형을 학생으로도, 사람으로도 보지 않았다. 자신들도 똑같은 길을 걸어왔다던 그들이 잘못된 것을 모를 리 없으면서도 아무렇지 않게 살고 있다”며 “산재 신청을 통해 대학원 교수들이 학생들을 지배하는 구조 관행을 없애고자 한다. 민사, 형사, 학교의 징계 등 모든 절차로 이 잘못을 세상에 새기겠다”고 말했다.
A씨 유가족은 전남대에 진상조사보고서를 정보공개 청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용근로공단에 산재 신청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앞서 A씨 유가족은 지난 3일 전남대 내부 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에도 A씨의 피해 사실을 알리고 산재 신청 계획을 알리는 글을 올렸다. 이 게시물은 3일 사이 765개 ‘공감’을 받으며 인기 게시물로 등록됐다.
해당 게시물 댓글란에서는 A씨 유가족의 아픔에 공감하고 대학원생 지위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연대 의지가 확산하는 분위기가 감지됐다.
한 전남대생은 댓글에 “저 또한 담당교수 때문에 직전 학기까지 오래도록 힘들었기에, 얼굴도 모르는 고인 분의 소식을 듣고 한참을 울었다”며 “유가족들에게 위로를 전하며 평생을 잊지 않고, 도울 수 있는 한 돕겠다”고 썼다.
또 다른 전남대생은 “저 또한 일부 교수들에게 공공연히 고소 언급을 했던 피해자다”며 “산재 인정을 꼭 받아서 좋은 선례가 됐으면 좋겠다. 시대가 바뀐 만큼 의식도 바뀌면 좋겠다”고 댓글을 달았다.
이밖에도 해당 글에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대학원생들의 처우가 개선되길 바란다”, “연대하고 지지한다”, “응원한다”는 등 댓글이 50여개 넘게 달리면서 학생들의 연대가 이어졌다.
한편, A씨는 지난 7월 13일 지도교수 C씨와 연구교수(박사) D씨로부터 과중한 업무를 지시받고 갑질 피해를 당했다는 유서를 남긴 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현재 C씨는 직권남용 혐의로, D씨는 강요 혐의로 입건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C씨는 학생인건비를 회수해 관리토록 하고 논문 저자를 허위로 표시하도록 강요한 혐의 등도 받고 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