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 10명 중 7명 “광전특별연합 필요”
2025년 11월 02일(일) 14:50 가가
1호 공동사무 ‘광주·나주 광역철도’도 과반 찬성…인지도는 낮아 ‘설명·소통’ 과제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특별연합) 추진에 대해 광주시민 71.4%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별연합의 설립이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절반을 넘었으나, 아직 제도적 안착과 실질적 효과에 대한 회의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광주시의회가 공개한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성치에 대한 광주시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특별연합 전반에 대한 긍정 평가는 79.2%로 더 높았고, 1호 공동사무인 ‘광주?나주 광역철도’에는 69.1%가 찬성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달 13일부터 20일까지 광주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시민이 꼽은 성공의 열쇠는 ‘광주·전남 간 이해관계 조율’(33.3%)이었다. 뒤를 이어 ‘공동사업 발굴’(21.3%), ‘중앙정부 지원’(18.3%) 순으로 나타나, 거버넌스·사업성·재정지원의 삼박자가 맞아야 한다는 현실적 요구가 확인됐다.
반대로 걸림돌은 ‘양 지자체 간 이해관계 충돌’(51.6%)이 가장 높았다. 특별연합이 제도 설계만으로 굴러가기 어렵고, 조정 역량이 성패를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우선 협력 분야에선 ‘산업경제 활성화’(32.3%)와 ‘광역교통’(31.8%)이 양강으로 집계됐다. 생활·경제 효과가 빠르게 체감되는 영역에서 초반 성과를 요구하는 민심이 뚜렷했다.
세부 교차분석으로 보면 청년층은 교통, 중장년층은 산업 선호가 강했고, 광산·북구는 산업, 동구는 교통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관광·문화’(17.7%), ‘복지·교육’(10.0%), ‘환경·에너지’(8.1%)는 중·장기 보완축으로 분석된다.
‘광주-나주 광역철도’ 지지는 적극적이다. ‘매우 찬성’이 28.0%, ‘찬성’이 41.1%로 찬성 합계가 69.1%였고, 반대는 15.4%에 그쳤다.
정책 초기 가시성과 권역 통근·통학·산단 접근성 개선이 기대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30대와 일부 자치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반대가 확인돼 세부 노선·환승·요금체계에 대한 맞춤 대응이 요구된다.
하지만 연합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았다는 점은 풀어야 할 과제로 꼽혔다.특별연합을 “전혀 모른다”는 응답이 49.9%였고, ‘잘 알고 있음·어느 정도 알고 있음’을 합친 핵심 인지층은 20.8%에 그쳤다.
기대효과로는 ‘광주·전남 상생발전’(43.6%)이 1순위였고 ‘브랜드 경쟁력’(25.9%), ‘행정 효율’(21.7%), ‘주민 서비스 개선’(8.7%)이 뒤를 이었다.
특별연합에 대한 지지는 주로 20~50대에서 강하게 나타난 반면, 고령층에서는 제도 변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특별연합의 설립이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절반을 넘었으나, 아직 제도적 안착과 실질적 효과에 대한 회의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달 13일부터 20일까지 광주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시민이 꼽은 성공의 열쇠는 ‘광주·전남 간 이해관계 조율’(33.3%)이었다. 뒤를 이어 ‘공동사업 발굴’(21.3%), ‘중앙정부 지원’(18.3%) 순으로 나타나, 거버넌스·사업성·재정지원의 삼박자가 맞아야 한다는 현실적 요구가 확인됐다.
세부 교차분석으로 보면 청년층은 교통, 중장년층은 산업 선호가 강했고, 광산·북구는 산업, 동구는 교통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관광·문화’(17.7%), ‘복지·교육’(10.0%), ‘환경·에너지’(8.1%)는 중·장기 보완축으로 분석된다.
‘광주-나주 광역철도’ 지지는 적극적이다. ‘매우 찬성’이 28.0%, ‘찬성’이 41.1%로 찬성 합계가 69.1%였고, 반대는 15.4%에 그쳤다.
정책 초기 가시성과 권역 통근·통학·산단 접근성 개선이 기대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30대와 일부 자치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반대가 확인돼 세부 노선·환승·요금체계에 대한 맞춤 대응이 요구된다.
하지만 연합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았다는 점은 풀어야 할 과제로 꼽혔다.특별연합을 “전혀 모른다”는 응답이 49.9%였고, ‘잘 알고 있음·어느 정도 알고 있음’을 합친 핵심 인지층은 20.8%에 그쳤다.
기대효과로는 ‘광주·전남 상생발전’(43.6%)이 1순위였고 ‘브랜드 경쟁력’(25.9%), ‘행정 효율’(21.7%), ‘주민 서비스 개선’(8.7%)이 뒤를 이었다.
특별연합에 대한 지지는 주로 20~50대에서 강하게 나타난 반면, 고령층에서는 제도 변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