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연합 출범 ‘몽니’…전남도의회 왜 이러나
2025년 10월 23일(목) 20:10
규약안 심사 보이콧 ‘상생’ 막아
전남도의회가 결국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이하 광역연합) 연내 출범을 막아섰다. 이번에는 광주시가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 실패 후 벌인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 등을 트집잡아 광주가 상생 의지가 없다면서 광역연합 규악안 심사를 거부했다.

이날 도의회가 규약안 심사를 보이콧함에 따라 사실상 도의회가 시·도 상생을 저버리는 정치행위를 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이재명 정부들어 적극 추진되는 ‘5극3특’(5개 초광역권과 3개 특별자치도)을 선점하려던 광주시와 전남도의 노력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23일 전남도의회 따르면 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기행위)는 이날 오전 9시께 의원 간담회를 갖고 전남도지사가 제출한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규약안’을 심사하지 않기로 했다. 지난 15일과 22일에 이은 세 번째 보이콧이다.

전남도의회 기행위는 앞서 광역연합 규약안 심사를 두 차례 보류하면서 ‘전남도의 설명 부족’, ‘내실없는 속도 내기’ ‘ 광역 연합의 불필요성’, ‘광주와 동(同)수의 광역의회 의원 수’ 등 각종 이유를 내세웠다.

이날 기행위 간담회에서는 또 다른 트집을 잡았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의 전남 유치에 대한 광주시 대처에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한 의원은 “전남도가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유치한 것을 두고 광주시가 반발하는 모습은 상생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라며 끝까지 반대 입장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전남의 경우 광주 보다 넒은 면적을 가진 탓에 광역연합의 공동과제 추진에 있어 지역별 의견이 제대로 반영될 수 있는 지 모르겠다는 의견을 낸 의원도 있었다.

이날 제 394회 임시회가 폐회하면서 광역연합 규약안 의결은 다음 회기를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양 시·도의회 회기가 열리는 이번 달 말 함께 광연연합 규약안 의결을 기대했다. 광주시의회는 규약안이 의결됐지만, 전남도의회는 이처럼 ‘시간 끌기’ 끝에 결국 규약안을 상정도 하지 못했다.

광역연합 출범을 위해 밟아야 하는 행정안전부 승인, 연합의회 의원 선임, 특별회계 조례한 의결 등 절차를 고려했을 때 연내 출범을 위해서는 10월 내 열리는 회기 내에서 규약안 통과가 절실했었다.

전남도의회의 이날 규약안 보이콧으로 광역연합 연내 출범에도 경고등이 들어왔고, 전남도의회가 양 시·도의 상생의지를 꺾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광주시가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 실패 이후 가진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와 더불어민주당 지도부 만남에 대한 전남도의회의 아쉬움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향후 광주시·전남도 광역연합 출범까지 막아서야 되겠다는 것이 일반적인 지역민들의 시선이다.

전국 다른 광역단체와 달리 양 시도가 광역연합 출범을 선점해 정부의 ‘5극3특’ 정책 지원 등을 적극적으로 받는다면 지역 미래산업 선도에 나설 수 있는데도, 전남도의회는 자신들의 정치논리만 앞세워 향후 지역의 미래산업 발전을 간과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특히 국가 AI 컴퓨팅센터가 전남으로 유치되더라도 과거 문재인 정부에서부터 국가사업으로 이미 시작해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광주와의 AI산업 협업이 이뤄져야 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광주·전남 광역연합을 통해 양 시·도가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AI산업 도시로 부상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전남도 관계자는 “도의원들과 적극 소통해 11월 3일 개회하는 제 395회 정례회에서 광역연합 규약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빠듯하겠지만 다음 회기에 통과되더라도 연내 출범이 가능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