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 산단’ 광주·전남에 조성 법적 토대 마련
2025년 10월 15일(수) 20:30
민주당 정진욱·김원이 의원 등 특별법 제정안 대표 발의
광주·전남 ‘상생’으로 산업생태계 약점 보완·강점 극대화

더불어민주당 정진욱·김원이 의원.

광주·전남지역이 ‘친환경 에너지 100% 제품’을 생산하는 RE100 산업거점으로 도약할 법적 토대가 마련되고 있다.

양 지역 국회의원들이 잇따라 발의한 특별법이 통과되면 전기요금 감면·조세특례·정주여건 개선 등 인센티브를 누릴 수 있어 AI 데이터센터와 첨단 제조 산업 유치도 탄력을 받게될 전망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정부의 ‘에너지 지산지소’(地産地消·에너지를 생산한 지역에서 소비) 정책의 선도 지역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5일 더불어민주당 정진욱(광주동남갑) 의원실에 따르면 정 의원은 ‘RE100 산업단지 특별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법안 골자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공급과 친환경 산업입지를 한 묶음으로 설계해, 재생에너지지구·전력망지구·산업지구·정주지구를 통합한 RE100 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전기요금 감면, 주택공급·임대 우선, 인재양성 같은 특례를 패키지로 묶어 유망 기업을 선제 유치하도록 법적으로 뒷받침한다는 데 방점이 찍혀있다.

기업이 통상 40M급 데이터센터 운영에 연간 400억원 안팎 전기요금을 부담해야 하는 실정에서 요금 특례는 투자 유치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는 에너지 사용 특례를 바탕으로 삼성 등 대기업과 투자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민주당 김원이(목포) 의원도 지난 12일 전남에 RE100 산단을 구축하는 ‘재생에너지자립도시 조성 및 지원 특별법’(가칭)을 대표 발의했다.

이 법안은 재생에너지 생산·공급·소비를 한 도시 안에 선순환시키는 신도시형 모델을 제시하고, 산업시설지구(산단)와 배후정주지구(주거), 재생에너지집적화지구, 분산형전력망지구를 한 체계로 지정·관리하도록 명문화했다.

입주기업에는 ‘저렴한 재생에너지 구매-사용’을 가능케 하는 전력공급 체계와 함께 조세감면·부담금 완화·정주 인프라·외국인근로자 우선 입주 특례 등이 조문에 포함됐다.

김 의원은 전남 서남권의 해상풍력·태양광과 연계해 오픈AI·SK 합작 AI 데이터센터 같은 빅프로젝트를 끌어들이는 가교 법안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두 의원이 발의한 법안은 광주·전남 ‘상생’이 공통분모다. 전남은 ‘대규모·대면적·해상형’ 재생에너지 생산을, 광주는 ‘내륙·도시형·영농형’ 분산발전을 축으로 한 산업생태계를 구축해 서로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을 극대화하는 체계를 지향한다.

예컨대, 광주에 RE100 산단이 들어서면 전남에서 생산한 전력의 안정적 수요처가 확보되고, 광주는 저탄소 전력 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을 키우는 선순환이 가능해진다.

전남은 서남권 해상풍력과 대규모 태양광 등 ‘대량·대면적 발전이 가능한 자원 우위’를 살려, 재생에너지 생산·집적·송전 인프라를 담당한다.

최종적으로 전남이 ‘대규모 전력생산 허브’, 광주는 ‘도시형 수요·활용 허브’로 역할을 나눠 ‘호남산 전기→호남 소비’의 지산지소를 완성하는 그림이다.

이 구조가 자리 잡으면 전남·제주 등지에서 송배전망 포화로 재생에너지 출력을 줄였던 병목도 완화되고, 전력망 보강 부담이 분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광주에 RE100 산단 틀이 갖춰지면 국가 AI컴퓨팅센터(최대 GPU 5만 장) 같은 전력다소비 디지털 인프라의 전기요금 부담을 줄여 후속 투자(반도체·서버 부품·액체냉각·전력솔루션) 유인을 높일 수 있다.

전남의 경우 해상풍력·대규모 태양광 개발지와 배후도시·산단을 ‘재생에너지자립도시’로 엮으면, 발전사업자에 대한 국·공유지 임대료 인하, 저리 정책금융, 지능형 전력망 지원 같은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다.

정진욱 의원은 “RE100 관련 법안은 양 지역을 에너지 자원과 활용을 극대화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면서 “광주의 경우 국가AI컴퓨팅센터가 입지할 산단을 재생에너지 자립산단으로 간주해 전력요금 등 지원을 적용하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에서도 관련 법안을 준비하고 있는만큼 법안이 최종적으로 조율되는 과정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광주·전남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찾겠다”고 설명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