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소아청소년 병원, 서울의 10%도 안돼”
2025년 10월 08일(수) 10:08 가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 방안 연구’
소아청소년 전문의 수, 서울이 광주·전남의 6배·10배 수준
소아청소년 전문의 수, 서울이 광주·전남의 6배·10배 수준
광주·전남지역 소아청소년과 의원 수가 서울의 1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도 서울이 광주·전남의 6배·10배에 달해 의료자원의 수도권 쏠림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 방안 연구’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기준 1차 의료기관인 소아청소년과 의원 수의 경우 광주 42곳, 전남 25곳으로 서울(459곳)의 9%와 5% 수준에 불과했다.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의료접근성이 수도권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것이다.
특히 광주의 경우 7개 특·광역시 중 세종(27곳)·울산(33개소) 다음으로 50곳도 안되는 곳에 포함됐으며, 전남은 17개 시도 중 가장 적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경기(694곳)를 포함한 수도권과 비교하면 훨씬 큰 차이를 보인다.
또한 소아청소년 1만명당 소아청소년 표시과목 의원 수(2023년 기준)를 비교하면 서울은 전국 평균(2.9곳) 보다 1곳 더 많은 3.9곳인데 반해, 광주와 전남은 평균에도 훨씬 못미치는 1.8곳과 1.0곳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과 표시과목 의원은 의원급 의료기관 중에서 개설 신고 때 진료과목(표시과목)을 ‘소아청소년과’로 등록·표시한 기관이다.
참고로 2023년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 수는 751만2000여명이며, 이중 서울은 116만3000명, 광주 23만2000명, 전남 25만1000명이다.
전문의 수(2024년 2분기 기준)도 서울이 1510명으로 광주(238명)의 6배, 전남(149명)의 10배 이상으로 각각 집계됐다.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1691명)의 전문의 수가 전체의 49.4%를 차지하고 있어 쏠림현상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전문의 수를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2022년 기준)에 의하면 광주는 0.97명으로 전국 평균(0.80명) 보다 약간 많지만 서울(1.15명), 부산(1.01명), 대구(1.01명) 보다 적으면서 1명도 안되는 수준이다. 전남은 0.59명으로 17개 시도 중 경북(0.52명), 충남(0.56명) 다음으로 가장 적었다.
이처럼 소아청소년 수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의료 기관과 전문의 수는 수도권과 지역의 차이가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소아청소년 1000명 당 전문의 수는 증가 추세에 있으나, 시·도간 격차가 큰 것은 소아청소년 전문인력의 대도시 집중 현상과 지역간 소아진료 접근성의 불균형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도 서울이 광주·전남의 6배·10배에 달해 의료자원의 수도권 쏠림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 방안 연구’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기준 1차 의료기관인 소아청소년과 의원 수의 경우 광주 42곳, 전남 25곳으로 서울(459곳)의 9%와 5% 수준에 불과했다.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의료접근성이 수도권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것이다.
전문의 수(2024년 2분기 기준)도 서울이 1510명으로 광주(238명)의 6배, 전남(149명)의 10배 이상으로 각각 집계됐다.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1691명)의 전문의 수가 전체의 49.4%를 차지하고 있어 쏠림현상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전문의 수를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2022년 기준)에 의하면 광주는 0.97명으로 전국 평균(0.80명) 보다 약간 많지만 서울(1.15명), 부산(1.01명), 대구(1.01명) 보다 적으면서 1명도 안되는 수준이다. 전남은 0.59명으로 17개 시도 중 경북(0.52명), 충남(0.56명) 다음으로 가장 적었다.
이처럼 소아청소년 수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의료 기관과 전문의 수는 수도권과 지역의 차이가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소아청소년 1000명 당 전문의 수는 증가 추세에 있으나, 시·도간 격차가 큰 것은 소아청소년 전문인력의 대도시 집중 현상과 지역간 소아진료 접근성의 불균형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