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6.9% “야권으로 정권 교체”
2025년 04월 07일(월) 19:45 가가
리얼미터…76.9% “헌재 선고 수용”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전후로 정권 교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권의 정권연장을 원하는 여론과 야권의 정권교체를 원하는 여론의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결과에 대해 76.9%가 수용의 뜻을 밝혔고 17.4%가 수용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가 매주 조사하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4일 발표된 4월 1주차 조사(2∼4일)에서 조기 대선에서 야권에 의한 정권교체 응답이 56.9%로 집계됐다.
반면,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 응답은 37%에 그치면서 19.9%p의 격차를 보였다.
일주일 전 3월 4주차 조사에서는 야권의 정권 교체 응답이 57.1%로, 여당의 정권 연장 응답(37.8%)과 19.3%p의 차이에서 더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12월 4주차부터 매주 진행된 조사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인 것이다.
정권 교체 여론은 권역별로 대전·세종·충청(54.7%, 4.7%p↑), 대구·경북(50.3%, 3.4%p↑)에서 올랐고, 광주·전라(65.1%, 9.4%p↓), 부산·울산·경남(50.8%, 3.2%p↓), 서울(57.2%, 1.0%p↓)에서 내려갔다. 제주가 88.5%로 정권교체에 대한 열망이 가장 높았다.
지지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층의 90.9%가 정권 연장을 원했고,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5.5%가 정권 교체를 희망했다. 무당층에서는 정권 교체 여론이 47.5%, 정권 연장 여론이 21.2%로 정권 교체 여론이 우세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92.5%가 정권 교체를, 보수층의 74.6%가 정권 연장을 기대했다. 중도층에서는 정권 교체가 65.7%, 정권 연장이 29.6%의 응답이 나왔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4.8%, 국민의힘 35.7%로 조사돼 지난주 격차(11.2%p)에서 다소 줄었다.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후 가장 필요한 정치적 안정 조치로는 사회갈등해소·국민통합 노력이 25.8%로 가장 응답자가 많았고 대통령제 대편 등 정치제도 개혁(24.6%), 여야간 협치·국정운영정상화(22%), 윤 전 대통령·이재명 대표의 공식사과(17.6%), 기타·잘 모름(10%) 순이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여권의 정권연장을 원하는 여론과 야권의 정권교체를 원하는 여론의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결과에 대해 76.9%가 수용의 뜻을 밝혔고 17.4%가 수용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반면,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 응답은 37%에 그치면서 19.9%p의 격차를 보였다.
일주일 전 3월 4주차 조사에서는 야권의 정권 교체 응답이 57.1%로, 여당의 정권 연장 응답(37.8%)과 19.3%p의 차이에서 더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12월 4주차부터 매주 진행된 조사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인 것이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92.5%가 정권 교체를, 보수층의 74.6%가 정권 연장을 기대했다. 중도층에서는 정권 교체가 65.7%, 정권 연장이 29.6%의 응답이 나왔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4.8%, 국민의힘 35.7%로 조사돼 지난주 격차(11.2%p)에서 다소 줄었다.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후 가장 필요한 정치적 안정 조치로는 사회갈등해소·국민통합 노력이 25.8%로 가장 응답자가 많았고 대통령제 대편 등 정치제도 개혁(24.6%), 여야간 협치·국정운영정상화(22%), 윤 전 대통령·이재명 대표의 공식사과(17.6%), 기타·잘 모름(10%) 순이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