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M 파업 갈등 끝날까…광주시·사측 ‘조정·중재안’ 수용
2025년 04월 02일(수) 19:30 가가
중재위, 시·사측에 협의회 산하 상설기구 설치·복지기금 확대 요구
노조에는 2교대 근무 적극 협력 등 요청…오늘 오전 입장 발표 예정
노조에는 2교대 근무 적극 협력 등 요청…오늘 오전 입장 발표 예정
광주시와 GGM 사측이 노사민정협의회의 ‘조정·중재안’을 수용키로 해 GGM 노동조합(노조)의 행보가 주목된다.
광주시와 GGM은 2일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조정·중재특별위원회가 권고한 ‘GGM 갈등 해결을 위한 조정·중재안’을 적극 수용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2025년 제2차 노사민정협의회’를 열어고 조정·중재안을 제시했다.
이번 ‘조정·중재안’은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가 GGM 갈등으로 지역사회의 위기감이 커짐에 따라 지난 1월 조정·중재특별위원회를 구성, 총 9차례에 걸친 회의와 8개 기관·단체 의견청취를 거쳐 전원 합의로 마련됐다.
조정·중재특별위원회는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설치 및 운영 조례’와 ‘노사상생발전협정서’에 근거한 특별위원회로, 노동·경영·전문가·시의회·행정분야 총 6명으로 구성됐다.
조정·중재안은 GGM 경영진과 노조 양측에게 ‘노사민정 대타협 GGM설립정신을 담은 노사상생발전협정서 준수’,‘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한 컨설팅 등 노사문화 개선방안 마련’을 권고했다.
GGM 경영진에게는 ‘노조와 상생협의회 활동에 필요한 사무실 제공’, ‘조합비 일괄공제(Check-off)’, ‘단체교섭 시 근로시간 면제 범위 확대(4→8시간)’, ‘공급물량 확대(2교대 도입) 및 신규모델 도입 등 비전 제시’,‘공동근로복지기금 확대’ 등을 제안했다.
노조에는 35만대 생산목표 달성 때까지 파업 유보로 고용 안정과 노사상생협의회의 역할 존중, 35만대 생산목표 조기달성을 위한 2교대 근무 적극 협력을 요청했다.
광주시에게는 공동복지프로그램 적극 이행, 공동근로복지기금 증액으로 실질적 복지 확대, 물가 및 주거비 상승률을 반영한 주거지원비의 현실적 수준 지원, GGM 갈등 현안 모니터링을 위한 노사민정협의회 산하 상설기구 설치 등을 요구했다.
광주시는 GGM 갈등 당사자와 시민사회 등의 다양한 의견을 균형있게 청취해 합리적으로 마련한 조정·중재안을 수용키로 했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시는 노사민정이 조정·중재특위를 만들어 60일 동안 애써 마련한 중재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며 “GGM 경영진도, 노조도 모두 중재안을 받아들이면, 우리는 상생의 힘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강시장은 “트럼프 관세정책 발효를 앞두고 폭풍전야인 자동차 업계와 1대 주주인 시민이 지켜보고 있는 만큼 노조와 경영진 모두 중재안을 수용하리라 믿는다”며 “이번 조정·중재가 계기가 돼 GGM이 세계 속의 GGM으로 성장하고 광주형 일자리가 확산돼 광주 발전의 기반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GGM측도 조정·중재안을 받아 들였다,
GGM 측은 “이번 조정중재안에 노사상생발전협정서의 취지와 맞지 않은 내용이 일부 포함돼 있어 회사도 부담은 되지만, GGM이 설립되는 과정에서 노사상생발전협정서 체결의 주체가 됐던 노사민정협의회가 심사숙고 끝에 제시한 중재안이기 때문에 이를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조정·중재안을 받아본 후 내부 검토를 거쳐 3일 오전 공식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한편 GGM은 무노조·무파업을 골자로 한 노사상생협정서를 두고 노조와 사측이 갈등을 빚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시와 GGM은 2일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조정·중재특별위원회가 권고한 ‘GGM 갈등 해결을 위한 조정·중재안’을 적극 수용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정·중재안’은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가 GGM 갈등으로 지역사회의 위기감이 커짐에 따라 지난 1월 조정·중재특별위원회를 구성, 총 9차례에 걸친 회의와 8개 기관·단체 의견청취를 거쳐 전원 합의로 마련됐다.
조정·중재특별위원회는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설치 및 운영 조례’와 ‘노사상생발전협정서’에 근거한 특별위원회로, 노동·경영·전문가·시의회·행정분야 총 6명으로 구성됐다.
노조에는 35만대 생산목표 달성 때까지 파업 유보로 고용 안정과 노사상생협의회의 역할 존중, 35만대 생산목표 조기달성을 위한 2교대 근무 적극 협력을 요청했다.
광주시에게는 공동복지프로그램 적극 이행, 공동근로복지기금 증액으로 실질적 복지 확대, 물가 및 주거비 상승률을 반영한 주거지원비의 현실적 수준 지원, GGM 갈등 현안 모니터링을 위한 노사민정협의회 산하 상설기구 설치 등을 요구했다.
광주시는 GGM 갈등 당사자와 시민사회 등의 다양한 의견을 균형있게 청취해 합리적으로 마련한 조정·중재안을 수용키로 했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시는 노사민정이 조정·중재특위를 만들어 60일 동안 애써 마련한 중재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며 “GGM 경영진도, 노조도 모두 중재안을 받아들이면, 우리는 상생의 힘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강시장은 “트럼프 관세정책 발효를 앞두고 폭풍전야인 자동차 업계와 1대 주주인 시민이 지켜보고 있는 만큼 노조와 경영진 모두 중재안을 수용하리라 믿는다”며 “이번 조정·중재가 계기가 돼 GGM이 세계 속의 GGM으로 성장하고 광주형 일자리가 확산돼 광주 발전의 기반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GGM측도 조정·중재안을 받아 들였다,
GGM 측은 “이번 조정중재안에 노사상생발전협정서의 취지와 맞지 않은 내용이 일부 포함돼 있어 회사도 부담은 되지만, GGM이 설립되는 과정에서 노사상생발전협정서 체결의 주체가 됐던 노사민정협의회가 심사숙고 끝에 제시한 중재안이기 때문에 이를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조정·중재안을 받아본 후 내부 검토를 거쳐 3일 오전 공식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한편 GGM은 무노조·무파업을 골자로 한 노사상생협정서를 두고 노조와 사측이 갈등을 빚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