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올해 400억원 투입…해양쓰레기 확 줄인다
2025년 03월 12일(수) 21:20 가가
폐어구 보증금제·바다환경지킴이 채용·정화사업 등 추진
‘연안 정화의 날’ 활성화…정부에 최신 정화선 보급 건의도
‘연안 정화의 날’ 활성화…정부에 최신 정화선 보급 건의도
전남도가 ‘청정 전남 바다’ 만들기에 팔을 걷어붙였다. 전국에서 수산물 생산액(3조 1127억원)이 가장 많은 전남의 해양 자원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적극적인 해양 오염 대책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12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육·해상 발생원 관리 강화 ▲효율적 수거 기반 구축 ▲도민 참여 확대 등 3개 분야로 나눠 해양쓰레기를 줄이는 데 400억원을 투입한다.
세부적으로 폐어구를 가져오면 보증금을 돌려주는 어구보증금제 지원사업에 12억원을 지원하고 하천하구 부유쓰레기 차단막 설치 확대 및 완도와 신안 등 우심지역에 드론·인공지능을 활용한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시범 사업도 추진한다.
또 섬·해안가 해양쓰레기 정화사업, 바다환경지킴이 채용(282명), 항·포구 육상·선상 집하장 신규 설치(58개소),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 방치 선박 정리 지원 등 쓰레기 수거 기반을 마련해 깨끗한 바닷가 조성에도 힘을 쏟는다.
바다에 쌓인 오염퇴적물 수거 처리에도 관심을 기울여 양식어장 정화사업과 청정어장(함평) 재생사업 등 연근해 어장환경 개선에 50억원을 투입한다.
전남도는 아울러 해양환경공단과 협력해 거점형 재활용 공공집하장을 목포항에 이어 광양항까지 확대 설치, 해양 쓰레기 재활용률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전남도는 이외 해안가 정화활동, 캠페인 등 해양보전을 위한 민간기관과의 협력 및 도민 참여를 확대하는 데 2억원을 지원하고 ‘연안 정화의 날’을 활성화해 전남 바다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확대키로 했다.
전남 바다 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 건의도 지속적으로 진행한다.
지역 맞춤형 해양쓰레기 저감 프로젝트 발굴, 바다 정화사업에 대한 국비 보조율 상향(50→70%), 부유·침적 폐기물 상시 수거를 위한 최신 정화선 권역별 보급 등도 정부에 건의한다.
전남도 관계자는 “해양쓰레기 문제는 국민의 먹거리,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며 “해양쓰레기 저감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정화선 국비 지원 등을 정부에 적극 건의해 해양환경과 국민건강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12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육·해상 발생원 관리 강화 ▲효율적 수거 기반 구축 ▲도민 참여 확대 등 3개 분야로 나눠 해양쓰레기를 줄이는 데 400억원을 투입한다.
또 섬·해안가 해양쓰레기 정화사업, 바다환경지킴이 채용(282명), 항·포구 육상·선상 집하장 신규 설치(58개소),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 방치 선박 정리 지원 등 쓰레기 수거 기반을 마련해 깨끗한 바닷가 조성에도 힘을 쏟는다.
전남도는 이외 해안가 정화활동, 캠페인 등 해양보전을 위한 민간기관과의 협력 및 도민 참여를 확대하는 데 2억원을 지원하고 ‘연안 정화의 날’을 활성화해 전남 바다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확대키로 했다.
전남 바다 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 건의도 지속적으로 진행한다.
지역 맞춤형 해양쓰레기 저감 프로젝트 발굴, 바다 정화사업에 대한 국비 보조율 상향(50→70%), 부유·침적 폐기물 상시 수거를 위한 최신 정화선 권역별 보급 등도 정부에 건의한다.
전남도 관계자는 “해양쓰레기 문제는 국민의 먹거리,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며 “해양쓰레기 저감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정화선 국비 지원 등을 정부에 적극 건의해 해양환경과 국민건강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