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정비 민간업체 분산 절대 안돼”
2025년 03월 06일(목) 19:30 가가
노조 “정비 불량으로 재앙 부를 것”
민주노총 소속 한빛원전 하청업체 노조가 한빛원전 발전소 경상정비(예방·정비 등)를 민간업체로 분산하는 것에 반발하고 나섰다.
6일 공공연대노동조합 경정비 지회(노조)는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발전소 정비업무를 민간에 개방하는 것은 민영화 수순”이라면서 중단을 촉구했다.
노조는 한수원이 지난해부터 공기업인 한전KPS가 해온 경상정비를 민간업체에 분산해 맡겨 작업을 이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빛2발전소는 지난해 7월 1일부터 한전KPS(80%) 외에도 2개 민간업체에 10%씩 지분을 나눠 운영 중에 있고, 한빛3발전소(5·6호기)는 올해 1월부터 같은 비율로 운영 중이라는 것이다.
노조는 “경상정비 민영화는 이윤추구로 이어지고 정비 불량으로 엄청난 재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현재는 한빛원자력 2·3발전소에 한하지만 다른 지역 원자력 발전소로 확대돼 모든 지역의 위험과 재앙을 마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빛원전 측은 “정부 정책에 맞춰 수십년 전부터 한전KPS을 통해 일부 정비는 민간기업에 이양해 왔다”며 “정비 역량이 확인된 업체라면 민간기업에 분산하는 방안이 역량 강화 측면에서도 맞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6일 공공연대노동조합 경정비 지회(노조)는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발전소 정비업무를 민간에 개방하는 것은 민영화 수순”이라면서 중단을 촉구했다.
한빛2발전소는 지난해 7월 1일부터 한전KPS(80%) 외에도 2개 민간업체에 10%씩 지분을 나눠 운영 중에 있고, 한빛3발전소(5·6호기)는 올해 1월부터 같은 비율로 운영 중이라는 것이다.
노조는 “경상정비 민영화는 이윤추구로 이어지고 정비 불량으로 엄청난 재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현재는 한빛원자력 2·3발전소에 한하지만 다른 지역 원자력 발전소로 확대돼 모든 지역의 위험과 재앙을 마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