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광·서진여고 통학 방해 컨테이너 신속 해결을”
2025년 03월 05일(수) 20:40 가가
시민단체 “‘손 놓은’ 시교육청·남구 직무유기” 대책 촉구
광주지역 교육 시민단체가 대광여고와 서진여고 통학로 분쟁에 대한 광주시교육청의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모임(시민모임)은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새학기가 시작됐는데도 대광여고와 서진여고 학생들의 등·하교 길은 여전히 위험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며 “시교육청은 더이상 책임을 미루지 말고 민·관 협의체 구성 등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시민모임은 “지난해 11월부터 홍복학원과 광주시교육청·광주시 남구·소방 등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여러 차례 문제 해결을 촉구했으나 모두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며 “현재 상황이 장기화할 경우 학생들의 생명과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광주시 남구는 컨테이너를 설치한 부동산 개발업체에게 오는 19일까지 원상복구를 명령하고 위반건축물에 대한 이행강제금 부과를 통보했다. 하지만 시민모임은 “이행강제금이 300만원 수준으로 실효성이 낮다”고 꼬집었다.
시민모임은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손을 놓고 있는 것은 공무상 직무유기다”며 “시교육청과 관계 당국, 홍복학원 등은 학생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대광여고와 서진여고를 산하에 두고 있는 홍복학원은 전 이사장의 세금 체납으로 학생들의 통학로에 대한 소유권을 잃었다. 이 토지를 공매에서 낙찰받은 부동산 개발업체는 “홍복학원이 통학로 인도 소송에서 패소하고도 문제를 5년간 방치하고 토지교환 결의마저 철회해버렸다”며 지난해 11월 16일부터 통학로에 18㎡ 규모 컨테이너를 설치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모임(시민모임)은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새학기가 시작됐는데도 대광여고와 서진여고 학생들의 등·하교 길은 여전히 위험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며 “시교육청은 더이상 책임을 미루지 말고 민·관 협의체 구성 등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광주시 남구는 컨테이너를 설치한 부동산 개발업체에게 오는 19일까지 원상복구를 명령하고 위반건축물에 대한 이행강제금 부과를 통보했다. 하지만 시민모임은 “이행강제금이 300만원 수준으로 실효성이 낮다”고 꼬집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