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가뭄·홍수 잦아진다…다양한 물관리 대책 시급
2025년 02월 10일(월) 20:50 가가
기후위기 시대, 현재 상수도 공급체계로는 자연재해 대응 못해
남부지역 지하수 고갈 더 심할 듯…주암댐-장흥댐 연결 등 필요
시민단체 토론회 개최
남부지역 지하수 고갈 더 심할 듯…주암댐-장흥댐 연결 등 필요
시민단체 토론회 개최


사단법인 시민행복발전소가 주최하는 기후위기대응 가뭄피해 예방을 위한 물관리 대책방안 토론회가 10일 광주시 서구 5·18교육관에서 열렸다. 이춘석 시민행복발전소 이사의 진행으로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기후 변화로 광주·전남에서 갈수록 가뭄이 심화되고 홍수가 잦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가뭄·홍수 대응 능력이 떨어지는 광주·전남의 상수도 공급 체계를 개편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신규 댐을 건설하는 등 대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같은 주장은 10일 광주시 서구 치평동 5·18교육관에서 지역시민단체 시민행복발전소 주최로 열린 ‘기후위기대응 가뭄피해 예방 물관리 대책방안’ 토론회에서 나왔다.
발제자로 나선 김민환 호남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는 “광주·전남 지역 등 남부 지방은 중부 지방에 비해 가뭄이 심화될 것이다”고 밝혔다.
기상청이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기후변화 대표농도경로(RCP)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온실가스 저감 정책의 효과와 무관하게 2100년까지 가뭄 빈도가 증가하고 지하수 자원이 고갈돼 지역 간 수자원 경쟁이 심해질 것으로 분석됐다는 것이다.
시나리오상 저위도의 건조·아열대 지역일수록 지표수와 지하수 자원 고갈이 심화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중부 지방에 비해 남부 지방의 강수량이 더 크게 줄고 가뭄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광주·전남의 상수도 공급체계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가뭄과 홍수 등 자연재해에 대응하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의 물 공급 체계를 유지할 경우, 2035년 기준으로 광주·전남 지역의 생활·공업용수는 공급량은 기후 변화 영향을 고려할 때 126만 4000t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일 최대 수요량인 183만7000t의 68.8%밖에 공급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농업용수의 경우 2030년을 기준으로 수요량 19억 4000만t, 공급량 17억 8100t으로 물 부족에 시달릴 전망이다.
김 교수는 지난 2022~2023년 광주·전남 지역에 가뭄이 발생했을 때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던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가뭄이 반복 발생할 때에 대비해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2022~2023년 가뭄 당시 동복댐의 저수율은 2023년 4월 4일 기준 18.28%, 주암댐은 20.3%로 떨어졌다. 평균 저수율이 동복댐 60%, 주암댐 57%임을 감안하면 심각한 물 부족에 처했던 것이다. 이 때 전남 일부 지역에서는 마을 지하수가 말라버려 농업용수를 끌어다 생활용수로 사용하고 타 지역에서 식수를 조달해야 하는 등 불편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김 교수는 우선 2040 국가수도기본계획에서 1단계 대책으로 내놓은 주암댐-장흥댐 연결과 같이 물공급 체계를 조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장흥댐의 용수 여유량(1일 11만t)을 가뭄시 주암댐으로 끌어오고, 물이 부족한 여수·광양 산단에도 추가 공급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골자다. 또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을 관리해 가뭄시 생활·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신규 물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추진하는 기후위기 댐을 건설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내놨다. 정부는 지난해 7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화순 동복천, 순천 옥천, 강진 병영천에 추가 댐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다만 환경단체 측에서는 신규 댐 건설보다는 다른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반발했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겠다며 환경을 파괴하는 댐을 건설하겠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종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적극 실시하고 있지 않을 뿐더러 광주·전남의 경우 영산강 물을 깨끗하게 한 뒤 농업·식수 등으로 사용하는 등 최소한의 자원 활용 노력조차 하고있지 않는다”며 “일단 인구수는 줄어들지만 1인당 물 사용량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찾고, 이후에도 물이 부족하다면 물 부족 예상량을 정확하게 예측해 대응하는 방식이 맞다”고 말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이에 가뭄·홍수 대응 능력이 떨어지는 광주·전남의 상수도 공급 체계를 개편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신규 댐을 건설하는 등 대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발제자로 나선 김민환 호남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는 “광주·전남 지역 등 남부 지방은 중부 지방에 비해 가뭄이 심화될 것이다”고 밝혔다.
기상청이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기후변화 대표농도경로(RCP)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온실가스 저감 정책의 효과와 무관하게 2100년까지 가뭄 빈도가 증가하고 지하수 자원이 고갈돼 지역 간 수자원 경쟁이 심해질 것으로 분석됐다는 것이다.
현재의 물 공급 체계를 유지할 경우, 2035년 기준으로 광주·전남 지역의 생활·공업용수는 공급량은 기후 변화 영향을 고려할 때 126만 4000t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일 최대 수요량인 183만7000t의 68.8%밖에 공급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농업용수의 경우 2030년을 기준으로 수요량 19억 4000만t, 공급량 17억 8100t으로 물 부족에 시달릴 전망이다.
김 교수는 지난 2022~2023년 광주·전남 지역에 가뭄이 발생했을 때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던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가뭄이 반복 발생할 때에 대비해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2022~2023년 가뭄 당시 동복댐의 저수율은 2023년 4월 4일 기준 18.28%, 주암댐은 20.3%로 떨어졌다. 평균 저수율이 동복댐 60%, 주암댐 57%임을 감안하면 심각한 물 부족에 처했던 것이다. 이 때 전남 일부 지역에서는 마을 지하수가 말라버려 농업용수를 끌어다 생활용수로 사용하고 타 지역에서 식수를 조달해야 하는 등 불편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김 교수는 우선 2040 국가수도기본계획에서 1단계 대책으로 내놓은 주암댐-장흥댐 연결과 같이 물공급 체계를 조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장흥댐의 용수 여유량(1일 11만t)을 가뭄시 주암댐으로 끌어오고, 물이 부족한 여수·광양 산단에도 추가 공급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골자다. 또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을 관리해 가뭄시 생활·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신규 물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추진하는 기후위기 댐을 건설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내놨다. 정부는 지난해 7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화순 동복천, 순천 옥천, 강진 병영천에 추가 댐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다만 환경단체 측에서는 신규 댐 건설보다는 다른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반발했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겠다며 환경을 파괴하는 댐을 건설하겠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종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적극 실시하고 있지 않을 뿐더러 광주·전남의 경우 영산강 물을 깨끗하게 한 뒤 농업·식수 등으로 사용하는 등 최소한의 자원 활용 노력조차 하고있지 않는다”며 “일단 인구수는 줄어들지만 1인당 물 사용량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찾고, 이후에도 물이 부족하다면 물 부족 예상량을 정확하게 예측해 대응하는 방식이 맞다”고 말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