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총장 임명 지연 컨트롤 타워 공백 지속
2025년 01월 16일(목) 20:05
‘탄핵 정국’ 맞물려 후보자 선출 후 4개월째 ‘감감’
‘글로컬 대학’·‘지역 혁신 대학 지원’ 등 차질 우려

전남대학교 전경 <광주일보 자료사진>

전남대학교 신임 총장 임명절차가 지연되면서 현안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16일 전남대에 따르면 제21대 정성택 총장이 지난 14일 이임함에 따라 15일부터 김병인(사학과 교수) 교학부총장이 총장직무대행를 맡고 있다.

전남대는 지난해 9월 이근배 교수와 송진규 교수를 선출하고 논문과 연구윤리에 대한 검증을 거쳤다. 이어 같은 해 12월 12일 총장임용후보자 추천서류를 교육부에 제출했다.

전남대 자체 검증에 시일이 걸린 탓이지만 교육부의 총장 임용 시점을 예측하기 힘들게 됐다. 임명권자인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절차가 진행되고 있어서다.

국립대 총장은 교육부가 총장 후보에 대해 교육공무원인사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대통령에게 임용을 제청하고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임명하게 돼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적극적으로 인사권을 행사해야 가능한 상황인데, 현재까지는 이런 움직임이 없다.

전남대에서는 총장 후보자 선출 후 현재까지 4개월 동안 컨트롤 타워 공백이 이어지고 있다. 전남대 여수캠퍼스도 마찬가지다.

전임 정성택 총장은 전임자 퇴임 후 곧바로 총장으로 임명돼 업무를 처리한 것과 사뭇 다른 양상이다.

전남대는 ‘글로컬(Glocal, Global+Local) 대학 30’ 사업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 등의 대형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글로컬 대학 30사업은 수도권을 제외한 비수도권 대학 육성책의 하나다. 정부는 2023년부터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30곳을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해 1개교당 5년간 1000억원을 지원한다. 전남대는 두번째 탈락했는데, 오는 22일 정부가 올해 글로컬 대학 사업 일정 등을 공개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도 현안 가운데 하나다. 라이즈는 국정과제인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혁신’ 사업 중 하나로, 기존 5개 대학재정지원사업(RIS, LINC3.0, LiFE, HiVE, 지방대활성화사업)을 통합해 예산과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하고 지역과 대학이 동반성장체계를 구축하는 지원사업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이미 라이즈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의정갈등으로 대규모 휴학상태인 의대생 문제도 과제 중 하나다.

전남대 관계자는 “대학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전남대에서 총장직무대행 체계가 장기화하면 대학자체는 물론 지역발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지역거점대학인 전남대 총장 공백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윤영기 기자 penfoot@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