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상장사 주가 곤두박질…시총 1조6천억 증발
2024년 12월 04일(수) 20:15 가가
한전 1조3천억·한전 kps 2천억· 금호타이어 160억
미래 불확실성 확대에 ‘코리아 디스카운트’ 강화 우려
미래 불확실성 확대에 ‘코리아 디스카운트’ 강화 우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언했다 국회의 의결로 계엄을 해제한 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이날 거래를 시작한 코스피,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소식에 4일 광주·전남 상장기업의 주가도 곤두박질쳤다. 개장 전 비상계엄 해제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의 순매도세가 커지는 등 불안감이 고조되면서 증시는 최대 15% 급락, 지역 상장기업 40개의 시가총액은 1조6000억원이 증발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53분 기준 광주·전남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전날 종가대비 1조6192억 69만4765원(7.3%) 감소한 20조3309억9475만2846원을 기록했다. 지역 상장기업 40곳 가운데 30곳의 주가가 전날 종가 대비 하락했으며, 보합을 기록한 곳은 3곳, 상승한 곳은 7곳에 불과했다.
10% 이상 하락한 기업만도 2곳이었으며, 5~10%미만 하락한 기업은 3곳이었다.
지역 최대 상장기업인 ‘한국전력’은 하루 사이에 무려 시가총액(13조9306억원)의 10% 수준에 달하는 1조3481억 2456만1700원이 감소했다. 주가는 전날 종가(2만3800원) 대비 8.82%(2100원) 빠진 2만1700원을 기록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한전 다음으로 시총 규모가 큰 ‘한전KPS’도 2137억 5000만원의 시총이 증발했고, 주가는 전날 4만8600원에서 4750원 줄어든 4만3850원을 나타냈다. ‘금호타이어’도 시총 143억6301만4350원이 감소, 주가는 전날 마감장보다 1.0% 감소했다.
주가 하락폭이 가장 큰 기업은 금호건설의 우선주인 ‘금호건설우’로 전일 대비 등락률 14.67%(1만8750원→1만6000원)를 기록했다. 코스닥에서는 ‘에스오에스랩’이 시가총액 194억5001만원이 줄었고, 주가는 11.31% 감소했다. ‘박셀바이오’도 시총이 55억1836만원 줄었다.
반면, 주가가 상승한 기업도 있었다. ‘대신정보통신’은 8.87% 상승 시총 약 28억원이 올랐고, ‘와토스코리아’(9.71%↑)와 ‘정다운’(3.75%↑)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국내 증시는 1.4%가량 하락해 2460대로 떨어졌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36.10포인트(1.44%) 하락한 2464으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49.34포인트(1.97%) 내린 2450.76으로 출발해 한때 2% 넘게 하락한 2440대까지 밀렸다. 다만 이내 낙폭을 줄이며 2460대에서 횡보세를 나타냈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3381억원, 172억원 순매수했음에도 외국인이 4071억원 어치를 팔아치우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종목별로 보면 삼성전자(-0.93%), LG에너지솔루션(-2.02%), 현대차(-2.56%)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이 다수 내렸다. 지역 상장기업 뿐 아니라 국내 증시 회복세는 당분간 회복되기 어렵다는 진단이 나온다.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한국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한국 증시 저평가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평가가 해외 금융업계 등에서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4일 이번 일을 계기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한국 증시가 다른 시장보다 저평가받는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강화될 수 있다고 봤다.
계엄 여파로 선진 증시 지수에 편입되고 재벌들의 기업 지배를 개선하려던 당국의 시도가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10% 이상 하락한 기업만도 2곳이었으며, 5~10%미만 하락한 기업은 3곳이었다.
지역 최대 상장기업인 ‘한국전력’은 하루 사이에 무려 시가총액(13조9306억원)의 10% 수준에 달하는 1조3481억 2456만1700원이 감소했다. 주가는 전날 종가(2만3800원) 대비 8.82%(2100원) 빠진 2만1700원을 기록했다.
반면, 주가가 상승한 기업도 있었다. ‘대신정보통신’은 8.87% 상승 시총 약 28억원이 올랐고, ‘와토스코리아’(9.71%↑)와 ‘정다운’(3.75%↑)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국내 증시는 1.4%가량 하락해 2460대로 떨어졌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36.10포인트(1.44%) 하락한 2464으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49.34포인트(1.97%) 내린 2450.76으로 출발해 한때 2% 넘게 하락한 2440대까지 밀렸다. 다만 이내 낙폭을 줄이며 2460대에서 횡보세를 나타냈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3381억원, 172억원 순매수했음에도 외국인이 4071억원 어치를 팔아치우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종목별로 보면 삼성전자(-0.93%), LG에너지솔루션(-2.02%), 현대차(-2.56%)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이 다수 내렸다. 지역 상장기업 뿐 아니라 국내 증시 회복세는 당분간 회복되기 어렵다는 진단이 나온다.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한국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한국 증시 저평가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평가가 해외 금융업계 등에서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4일 이번 일을 계기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한국 증시가 다른 시장보다 저평가받는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강화될 수 있다고 봤다.
계엄 여파로 선진 증시 지수에 편입되고 재벌들의 기업 지배를 개선하려던 당국의 시도가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