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광주본부 하남산단에 둥지트나…입주기업들 예의주시
2024년 11월 18일(월) 19:30 가가
시, 사무실 임대료 내년 예산 제외…하남근로자종합복지관으로 이전
광주 최대 산단 입주기업 1000여곳 …사업장 노사갈등 촉발 불안감
광주 최대 산단 입주기업 1000여곳 …사업장 노사갈등 촉발 불안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 광주본부의 하남산업단지공단 이전이 결정되면서 지역 경제계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입주기업만 1000여곳에 달하는 광주 최대 산업단지인 하남산단에 민주노총이 입주하면서 자칫 사업장의 노사 갈등이 촉발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최근 노사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 사업장의 노동조합이 대부분 민주노총에 소속되어 있다는 점도 기업인들의 우려를 낳게 하는 대목이다.
18일 지역 경제계에 따르면 광주시가 광주 광산구 첨단지구에 입주해있는 민주노총 광주본부 사무실을 최근 하남근로자종합복지관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갑작스러운 이전은 광주시가 지난 2003년부터 지원해왔던 민주노총 광주본부 사무실 임대료 5500만원을 내년부터는 지급하지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지난 5월 감사원으로부터 민주노총 사무실 임대료 지원과 관련된 내용 제출을 요구 받은 광주시가 이 같은 임대료 지원이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내년 예산 편성에서 제외한 것이다.
광주시는 임대료를 지원할 수 없게 되자 시 소유 건물에 민주노총 광주본부를 이전하기로 하고 장소를 물색한 끝에 하남산업단지 내 하남근로자종합복지관으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지역경제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광주 최대 산업단지인 하남산단에 민주노총이 둥지를 틀게 될 경우 그 영향력이 커질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하남산단 1000여개 기업 중 민주노총에 소속된 노조는 4곳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노동조합은 결성되었지만, 상급단체에 아직 가입을 안 한 곳이 48곳 정도다. 기업인들은 민주노총이 하남산단으로 자리를 잡게 되면 민주노총을 상급단체로 두려는 노동조합이 생겨날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하남산단 내 한 기업 대표는 “광주시가 왜 하필 하남산단으로 민주노총 광주본부 사무실을 결정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가뜩이나 경기침체로 매출도 줄었는데, 노동조합이 민주노총에 가입할 경우 경영자 입장에서는 골칫거리가 하나 더 늘게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아무래도 민주노총 광주본부가 산단 내에 입주하게 되면 주변 기업 노동자들과의 접촉이 늘어나고 가입을 권유하는 등의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현재 외국인 노동자의 언어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복지프로그램이 열리는 복지관 시설을 민주노총 사무실로 내어준다는 것에 우려감을 표하는 기업인도 상당수다.
일각에서는 광주시가 20년 넘게 민주노총 사무실 임대료를 지원해 오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광주시가 임대인과 직접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뒤 분기별로 임대료를 지급해왔는데, 2003년부터 올해까지 21년간 지원한 예산만 1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시 조례를 근거로 오랜기간 임대료를 지원해온 것으로 안다”며 “감사원 결과는 이달 중으로 발표될 예정으로, 내년도 예산안에는 민주노총 임대료 지원 금액을 반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입주기업만 1000여곳에 달하는 광주 최대 산업단지인 하남산단에 민주노총이 입주하면서 자칫 사업장의 노사 갈등이 촉발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18일 지역 경제계에 따르면 광주시가 광주 광산구 첨단지구에 입주해있는 민주노총 광주본부 사무실을 최근 하남근로자종합복지관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갑작스러운 이전은 광주시가 지난 2003년부터 지원해왔던 민주노총 광주본부 사무실 임대료 5500만원을 내년부터는 지급하지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지난 5월 감사원으로부터 민주노총 사무실 임대료 지원과 관련된 내용 제출을 요구 받은 광주시가 이 같은 임대료 지원이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내년 예산 편성에서 제외한 것이다.
현재 하남산단 1000여개 기업 중 민주노총에 소속된 노조는 4곳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노동조합은 결성되었지만, 상급단체에 아직 가입을 안 한 곳이 48곳 정도다. 기업인들은 민주노총이 하남산단으로 자리를 잡게 되면 민주노총을 상급단체로 두려는 노동조합이 생겨날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하남산단 내 한 기업 대표는 “광주시가 왜 하필 하남산단으로 민주노총 광주본부 사무실을 결정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가뜩이나 경기침체로 매출도 줄었는데, 노동조합이 민주노총에 가입할 경우 경영자 입장에서는 골칫거리가 하나 더 늘게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아무래도 민주노총 광주본부가 산단 내에 입주하게 되면 주변 기업 노동자들과의 접촉이 늘어나고 가입을 권유하는 등의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현재 외국인 노동자의 언어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복지프로그램이 열리는 복지관 시설을 민주노총 사무실로 내어준다는 것에 우려감을 표하는 기업인도 상당수다.
일각에서는 광주시가 20년 넘게 민주노총 사무실 임대료를 지원해 오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광주시가 임대인과 직접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뒤 분기별로 임대료를 지급해왔는데, 2003년부터 올해까지 21년간 지원한 예산만 1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시 조례를 근거로 오랜기간 임대료를 지원해온 것으로 안다”며 “감사원 결과는 이달 중으로 발표될 예정으로, 내년도 예산안에는 민주노총 임대료 지원 금액을 반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