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여성비정규직 비율 여전히 높다
2024년 11월 04일(월) 20:30 가가
지난해 47.3%로 남성보다 16.5%p 높아…전년대비 늘어나
계약직·시간제 줄고 임시·일용직 증가 ‘복지 사각지대’ 우려
계약직·시간제 줄고 임시·일용직 증가 ‘복지 사각지대’ 우려
광주지역에서 여성비정규직 비율이 여전히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직·시간제 노동자는 크게 줄어든 반면 임시·일용직은 증가해 노동시장 양극화도 더욱 뚜렷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 광주여성가족재단(재단)은 ‘2023년 하반기 광주시 정규직·비정규직 성별 고용동향(성별고용동향)’을 발표했다.
조사결과 광주 지역 15세 이상 임금노동자는 2021년 58만1000명, 2022년 59만2000명, 2023년 60만4000명으로 증가추세를 보였다.
2020년 광주지역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은 42.7%였고 2022년 44.7%로 꾸준히 증가했지만 지난해 광주지역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이 38.4%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38.4%)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분석됐다.
재단은 “노동시장 분위기가 개선되고 있으나, 비정규직 규모와 비중이 남성에 비해 여성이 여전히 높고, 임시·일용직 증가로 복지 사각지대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성별 비정규직 비율은 남성 30.8%, 여성 47.3%로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가 남성보다 16.5%p 높다는 점에서다. 이는 2022년(15.9%p)보다 증가한 수치로, 코로나 팬데믹 같은 위기의 극복 과정에서도 성별 차이가 발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한 비정규직 형태 중 계약직·시간제 노동자는 2022년 10만4000명에서 2023년 6만3000명으로 줄었지만, 임시·일용직 노동자는 16만명에서 2023년 16만9000명으로 늘었다.
광주지역 청년 노동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으로 드러났다. 2023년 하반기 광주지역 20~29세 청년들의 비정규직 비율은 43.9%로, 2022년 49.6%보다 감소했다. 하지만 이는 청년 임금노동자가 2022년 9만명에서 2023년 8만7000명으로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재단의 분석이다. 비정규직 청년의 실망실업자화(일자리를 얻기 어려워 아예 포기한 경우)나 지역이탈로 인해 청년노동자 자체가 감소했다는 것이다.
김경례 광주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임시·일용직 증가는 복지 사각지대가 더욱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고용구조 변화에 대한 지역 현황과 정책 대응을 구체적으로 살펴봐야 한다”며 “성별 내 비정규직 규모와 비중이 남성에 비해 여성이 여전히 높고 격차가 오히려 더 커졌다는 점에서 균형잡힌 경제활동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계약직·시간제 노동자는 크게 줄어든 반면 임시·일용직은 증가해 노동시장 양극화도 더욱 뚜렷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 광주여성가족재단(재단)은 ‘2023년 하반기 광주시 정규직·비정규직 성별 고용동향(성별고용동향)’을 발표했다.
2020년 광주지역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은 42.7%였고 2022년 44.7%로 꾸준히 증가했지만 지난해 광주지역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이 38.4%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38.4%)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분석됐다.
재단은 “노동시장 분위기가 개선되고 있으나, 비정규직 규모와 비중이 남성에 비해 여성이 여전히 높고, 임시·일용직 증가로 복지 사각지대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광주지역 청년 노동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으로 드러났다. 2023년 하반기 광주지역 20~29세 청년들의 비정규직 비율은 43.9%로, 2022년 49.6%보다 감소했다. 하지만 이는 청년 임금노동자가 2022년 9만명에서 2023년 8만7000명으로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재단의 분석이다. 비정규직 청년의 실망실업자화(일자리를 얻기 어려워 아예 포기한 경우)나 지역이탈로 인해 청년노동자 자체가 감소했다는 것이다.
김경례 광주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임시·일용직 증가는 복지 사각지대가 더욱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고용구조 변화에 대한 지역 현황과 정책 대응을 구체적으로 살펴봐야 한다”며 “성별 내 비정규직 규모와 비중이 남성에 비해 여성이 여전히 높고 격차가 오히려 더 커졌다는 점에서 균형잡힌 경제활동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