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경총 “데이터센터 등 지어 지역서 생산한 전력 지역서 소비해야”
2024년 09월 30일(월) 10:35 가가
정부 수도권 전력 이송 계획 비판
정부가 호남권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에서 사용하기 위해 해저 전력 케이블로 송전하는 것에 대해 지역 경제계가 처음으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호남에서 사용하지 못한 남는 전력을 수도권으로 가져갈 것이 아니라 광주·전남에 데이터센터, 반도체 공장을 지어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소멸을 막는 등 정부가 지역균형발전에 보다 집중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주경영자총협회는 29일 양진석<사진> 회장 명의로 성명서를 내고 “지역 생산전력을 활용한 산업을 육성하고 호남지역에 재생에너지 허브를 구축해 광주·전남 미래 세대를 위한 지역 경제 발전의 청사진을 만들어 주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광주경총은 최근 5년 간 광주·전남 인구는 10만명 줄었고 매년 1만명의 청년이 지역을 떠나고 있는 상황에서 호남 재생에너지 산업은 인·허가 중단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면서, 경제계는 재생에너지를 통한 지역 균형발전과 양질의 일자리창출 방안을 제시했다.
광주경총은 먼저 지역 생산전력을 활용한 산업 육성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광주경총은 “정부는 2036년까지 지역 재생에너지 발전력을 수도권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며 “그러나 전력 이송에 구축비용 7.9조원, 전력망 운영 시 연간 1.7조원 이상의 전력 손실액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광주경총은 전력 이송에 드는 비용을 지역에 투자할 경우 광주글로벌모터스(7000억원) 규모 공장을 10개 이상 만들 수 있고, 재생에너지 산단을 조성해 전력 소모가 큰 데이터 센터와 반도체 공장을 유치할 경우 지역 청년들에게 많은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호남을 재생에너지 허브로 육성해야 한다”고도 언급했다. 광주경총은 “향후 기업의 ‘RE100’ 참여를 대비하고 전기차,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저장장치 등 에너지산업을 키우기 위해서라도 지역 재생에너지의 집중 육성이 꼭 필요하다”며 “에너지 연관산업을 육성하면 청년 유출을 예방하고 인구 유입과 출산률 확대로 이어져 실질적인 지역균형발전이 실현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광주경총은 최근 5년 간 광주·전남 인구는 10만명 줄었고 매년 1만명의 청년이 지역을 떠나고 있는 상황에서 호남 재생에너지 산업은 인·허가 중단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면서, 경제계는 재생에너지를 통한 지역 균형발전과 양질의 일자리창출 방안을 제시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