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부진’ 송배전망 확충…광주·전남 전력수요 감당되나
2024년 09월 03일(화) 21:20 가가
해상풍력·AI데이터 센터 등 첨단 산업 유치에 전력 사용 급등 예상
장성·영광 등 송전선로 건설 2년째 계획만…주민 설득 등 적극 나서야
장성·영광 등 송전선로 건설 2년째 계획만…주민 설득 등 적극 나서야
광주·전남지역이 해상풍력, 국가AI데이터 센터, 빛가람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 등 지역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첨단 산업 유치에 나서면서 급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수요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당장, 한국전력공사(한전)의 송배전 전력망 확충 사업은 애초 계획보다 최대 6년까지 지연되고 있는데도, 별다른 해결책이 없는 실정이다.
한전은 대부분 지역주민들의 송배전 시설 반대 및 지방자치단체(지자체)의 행정절차가 지연된 데 따라 빚어지는 일이라는 입장이지만 해당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지중화 가능 여부나 계획 노선에 대한 충분한 설명 등이 부족하다는 반발도 적지 않아 주민과의 소통에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주거밀집지역을 피해 검토한 최적 노선이라는 입장만 반복할 뿐 주민들과의 접촉을 강화하려는 노력 등은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지역사회 일각에서 흘러나온다.
3일 한전에 따르면 오는 2036년까지 전력 수요가 현재보다 20%, 신재생에너지 수요는 28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열린 산업자원부와의 광주·전남 전력계통 협의회에서는 호남 지역의 재생에너지 설비가 꾸준히 증가해 2031년 말까지 약 42GW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을 정도다.
한전은 이에따라 지역 전력 안정성을 높이고, 반도체 등 특화단지의 전력 공급을 원활하게 할 전력망 확충을 위한 HVDC(초고압직류송전) 건설 등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년)에는 송변전 설비관련 56조 5000억원을 투자키로 하는 등 전회차(29조 3000억원)의 2배 가까이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한전의 전력망 확충 공사는 평균 4년(345kV 송전선로 기준) 지연되고 있는 형편이다.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경우 입지선정, 환경영향평가, 실시계획승인, 용지확보, 시공 등의 순서로 진행되는데, 통상 345kV 송전선로 기준 표준 공사기간은 9년임에도 현장에서는 평균 13년가량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한전은 지역주민들의 반발과 인허가 단계에서 지자체의 행정절차 지연을 송전선로 준공이 늦어지는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광주·전남지역의 경우 현재 4건의 송전선로 건설 사업이 입지선정 단계에서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성군 송전선로 건설사업(345kV 신장성S/S)은 6년 5개월째 지연되고 있다. 한전은 변전소 이전 요구 등 입지선정이 기존 계획보다 55개월, 장성군의 사업계획 공고 및 열람을 거부로 인해 행정심판 및 소송에서 승소하는데 22개월이 추가로 소요됐다고 설명했다.
보성군 송전선로 건설사업(154kV 득량S/S)은 3년 9개월째 늦어지고 있다. 지자체의 변전소 지장유무 조회 거부로 인해 24개월, 사업계획 공고 및 열람 거부 등으로 21개월 등이다.
영암군 건설사업(154kV 시종S/S)의 경우 지역주민들과의 갈등으로 2년 3개월째 헛바퀴가 돌고 있다. 주민들이 입지선정위원회에 참여하지 않는가 하면 지자체도 주민 반발을 이유로 사업계획 공고 및 열람을 거부하고 있다.
영광지역 또다른 송전선로 건설사업(154kV 서영광S/S)도 비슷한 이유 등으로 한전 자체 계획보다 차질이 빚어지며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 뿐 아니라 전국에서도 비슷하다.
특히 전남지역의 경우 국가AI데이터 센터, 이차전지 등 대규모 전력 수요가 필요한 기업 유치에 나서고 있는데다, 해상풍력 발전 사업 활성화에도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전측의 적극적인 송전선로 건설을 요구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산업 발전 및 이상기후 등으로 매년 전력수요는 높아지는 가운데, 전력망 건설이 지속적으로 지연될 경우 비교적 발전 원가가 저렴한 발전기 가동이 어려워져 전기요금 인상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남 지자체들 사이에서는 그러나 지역 발전을 위한 현안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한전 측이 주민들 입장에서 조금 더 다가서려는 노력을 펼쳐줄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당장, 한국전력공사(한전)의 송배전 전력망 확충 사업은 애초 계획보다 최대 6년까지 지연되고 있는데도, 별다른 해결책이 없는 실정이다.
주거밀집지역을 피해 검토한 최적 노선이라는 입장만 반복할 뿐 주민들과의 접촉을 강화하려는 노력 등은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지역사회 일각에서 흘러나온다.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년)에는 송변전 설비관련 56조 5000억원을 투자키로 하는 등 전회차(29조 3000억원)의 2배 가까이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한전의 전력망 확충 공사는 평균 4년(345kV 송전선로 기준) 지연되고 있는 형편이다.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경우 입지선정, 환경영향평가, 실시계획승인, 용지확보, 시공 등의 순서로 진행되는데, 통상 345kV 송전선로 기준 표준 공사기간은 9년임에도 현장에서는 평균 13년가량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한전은 지역주민들의 반발과 인허가 단계에서 지자체의 행정절차 지연을 송전선로 준공이 늦어지는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광주·전남지역의 경우 현재 4건의 송전선로 건설 사업이 입지선정 단계에서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성군 송전선로 건설사업(345kV 신장성S/S)은 6년 5개월째 지연되고 있다. 한전은 변전소 이전 요구 등 입지선정이 기존 계획보다 55개월, 장성군의 사업계획 공고 및 열람을 거부로 인해 행정심판 및 소송에서 승소하는데 22개월이 추가로 소요됐다고 설명했다.
보성군 송전선로 건설사업(154kV 득량S/S)은 3년 9개월째 늦어지고 있다. 지자체의 변전소 지장유무 조회 거부로 인해 24개월, 사업계획 공고 및 열람 거부 등으로 21개월 등이다.
영암군 건설사업(154kV 시종S/S)의 경우 지역주민들과의 갈등으로 2년 3개월째 헛바퀴가 돌고 있다. 주민들이 입지선정위원회에 참여하지 않는가 하면 지자체도 주민 반발을 이유로 사업계획 공고 및 열람을 거부하고 있다.
영광지역 또다른 송전선로 건설사업(154kV 서영광S/S)도 비슷한 이유 등으로 한전 자체 계획보다 차질이 빚어지며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 뿐 아니라 전국에서도 비슷하다.
특히 전남지역의 경우 국가AI데이터 센터, 이차전지 등 대규모 전력 수요가 필요한 기업 유치에 나서고 있는데다, 해상풍력 발전 사업 활성화에도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전측의 적극적인 송전선로 건설을 요구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산업 발전 및 이상기후 등으로 매년 전력수요는 높아지는 가운데, 전력망 건설이 지속적으로 지연될 경우 비교적 발전 원가가 저렴한 발전기 가동이 어려워져 전기요금 인상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남 지자체들 사이에서는 그러나 지역 발전을 위한 현안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한전 측이 주민들 입장에서 조금 더 다가서려는 노력을 펼쳐줄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