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公薦)-최권일 정치총괄본부장
2024년 01월 30일(화) 22:00
바야흐로 ‘공천’의 시간이 다가왔다. 4·10 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입후보자 공천에 속도를 내고 있어서다.

공천은 정당에서 선거에 출마할 공직선거 후보자를 추천하는 것인데, 벌써 정치권에서는 공천 경쟁이 치열하다. 선거 때만 되면 정치권은 항상 공천 후유증으로 몸살을 앓았다. 그래서 여야 모두 이번 총선에서도 ‘시스템 공천’과 ‘개혁 공천’을 공언하고 있다. 시스템 공천은 공천 과정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하기 위해 법률이나 당헌·당규를 근거로 공정한 기준과 절차를 마련해 공천하는 방식이다. 정치권의 고질적인 병폐였던 밀실 공천이나 사천(私薦), 줄세우기식 공천 논란에서 벗어나 국민 신뢰를 얻겠다는 의지 표현이다.

하지만 각 정당의 본격적인 공천 작업이 시작되면서 당내 곳곳에서 파열음이 나고 있다. 국민의힘은 시스템 공천을 공언한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특정 후보를 공개 지지하면서 ‘사천’ 논란과 함께 경쟁자들의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또한 서울과 수도권 등 험지에는 비윤(비 윤석열)계 인사들이, 텃밭인 영남 등지에는 검사 출신 용산 대통령실 참모인 일명 ‘검수저’들이 출마하면서 당내에서는 ‘용산 핵심 참모는 양지, 비윤은 험지’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도 후보 공천을 위한 예비후보 컷오프(공천 배제)를 앞두고 시스템 공천·개혁공천 실현 여부가 관심이다. 그런데 당 안팎에서는 이미 계파 간 갈등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고 우려한다. 비명(비 이재명)계와의 갈등에 이어 친명계 인사들이 친문(친 문재인)계 현역 의원들의 지역구에 앞다퉈 이른바 ‘자객 출마’하면서 ‘친명 대 친문 간’ 정면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재명 대표가 연신 강조해온 ‘당내 통합’이 공천을 놓고 더 큰 분열을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하는 대목이다. 민주당의 이번 공천을 지켜보는 이유다.

무엇보다 공천은 투명하고 공정해야 한다. 계파를 떠나 당헌·당규에 따른 시스템 공천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기준으로 후보를 추천해야 한다. 선거 때만 되면 나오는 시스템 공천과 개혁 공천이 구호로만 그쳐서는 안된다.

/cki@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