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로봇착유기 ‘낙농가 효자’
2023년 12월 25일(월) 18:40 가가
운영비용·노동력 절감, 생산력 증대 ‘일석삼조’
2027년까지 국내 국산 점유율 6%→10%로 목표
2027년까지 국내 국산 점유율 6%→10%로 목표
국산화에 성공한 로봇착유기가 비용 및 노동력 절감과 생산력 증대로 디지털 낙동의 시대를 선도한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2021년 ㈜다운과 공동 개발한 로봇착유기가 지난해부터 신기술 시범사업을 통해 농가에 보급되고 있으며, 외국산과 차별화된 기술 개발로 20건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12월 현재 농가에 보급된 국산 로봇착유기는 총 11대로, 국내 로봇착유기 도입 농가(180여대)의 6% 정도이다.
농진청은 내년 신기술 시범사업 2건과 일반 보급을 별도로 추진해 국산 로봇착유기의 국산 점유율을 2027년까지 10% 이상으로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정부의 확대 보급 계획은 지난해 국산로봇착유기의 시범운영 결과, 노동력·생산량·운영비용 부문에서 모두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노동력은 40% 절감되고, 젖소 1마리당 우유 생산량은 2~5kg 정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로봇착유기의 구매 가격도 외국산 보다 40% 정도 절감되고 유지보수비는 27% 감소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농진청은 시범사업에서 미비점을 보완해 기능과 성능을 더 높였다. 특히 가장 중요한 유두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프로그램에 AI기술을 접목시켜 착유컵 부착속도를 빠르게 했다. 이 밖에도 개체 인식 감지기 3종, 작업자 안전을 위한 대인 감지용 발판, 프로그램 3종 등 모두 11개의 기능을 개선했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
농촌진흥청은 지난 2021년 ㈜다운과 공동 개발한 로봇착유기가 지난해부터 신기술 시범사업을 통해 농가에 보급되고 있으며, 외국산과 차별화된 기술 개발로 20건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밝혔다.
농진청은 내년 신기술 시범사업 2건과 일반 보급을 별도로 추진해 국산 로봇착유기의 국산 점유율을 2027년까지 10% 이상으로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정부의 확대 보급 계획은 지난해 국산로봇착유기의 시범운영 결과, 노동력·생산량·운영비용 부문에서 모두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노동력은 40% 절감되고, 젖소 1마리당 우유 생산량은 2~5kg 정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로봇착유기의 구매 가격도 외국산 보다 40% 정도 절감되고 유지보수비는 27% 감소된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