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유위니아 법정관리 사태…지역경제계 “신속 회생 개시해야” 탄원 쏟아져
2023년 10월 16일(월) 18:40
광주상의, 16일 빠른 회생절차 개시 요청 탄원서 제출
광주산학연협의회, 광주시 "지역경제 피해 막기 위해 회생 서둘러야" 탄원
대유위니아그룹 노동자, 박영우 회장 국감 증인 출석 촉구도

위니아그룹 국정감사를 하루 앞둔 16일 광주지역 대유위니아그룹 노동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박영우 회장을 국감 증인으로 소환해야 한다”며 촉구하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제공>

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들의 잇단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 개시 신청으로 광주지역 경제가 극심한 위기에 빠질 수 있어 기업회생 절차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과 관련, 지역경제계가 신속한 회생절차 개시를 호소하고 나섰다.

광주상공회의소는 16일 ㈜위니아와 위니아전자, 위니아전자 메뉴팩처링, 대유플러스 등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한 대유위니아그룹 4개 계열사에 대해 신속한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광주상의는 “지역 주요 앵커기업들의 연쇄적 법정관리 신청에 따라 이들 기업의 근로자들은 물론 수백의 협력사들이 줄도산할 위험에 처했다”며 “지역경제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법정관리 신청기업들에 대한 신속한 회생절차 개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지역 경제의 중심 축인 가전산업이 때를 놓치지 않고 심기일전해 다시금 더 높이 도약할 수 있도록 재판부의 신속한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탄원하고 또한 고대한다”고 말했다.

광주산학연협의회 회장단도 이날 법원의 신속한 기업회생 개시 결정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했다. 협의회 측은 “이번 회생절차 개시 신청으로 공장 가동이 전면 중단돼 지역 협력업체들은 1000여억 원의 대금을 지급받지 못하고 있다”며 “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 직원들의 임금체불 사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런 문제가 수만여 명에 이르는 협력업체 직원과 그 가족들에게까지 확대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기업회생 개시 결정이 늦어질수록 그 피해 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파장 역시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며 “지역 중소기업들의 애타는 마음을 헤아려 하루라도 빨리 회생개시 결정을 해주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촉구했다.

이밖에 광주시도 이날 대유위니아그룹 4개 계열사의 기업회생 개시 결정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요청하는 탄원서를 법원 측에 제출했다.

광주시는 탄원서에서 “가전산업은 광주 제조업 전체 매출액의 20%를 차지하고, 이 중 22%를 대유위니아그룹 4개 계열사가 담당하고 있어 광주에 큰 타격이 우려된다”며 “풍전등화에 놓인 광주경제를 살리고 지역 중소기업의 숨통을 열 수 있도록 해달라”고 재판부에 건의했다.

한편 위니아그룹 국정감사를 하루 앞둔 16일 광주지역 대유위니아그룹 노동자들은 박영우 회장을 증인으로 소환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광주전남지부·위니아딤채지회·위니아전자지회는 이날 오후 광주시청 앞에서 박영우 위니아그룹 회장 국감 불출석 철회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박회장을 증언대에 세워야 한다”며 “퇴직자를 포함한 위니아전자 체불임금은 553억원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런 상황에도 박 회장은 지난 2022년 연봉 76억원을 챙겼다”며 “박 회장이 책임을 다 하지 않고 지병을 이유로 국감에 출석하지 않은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며 박 회장 증인 소환을 촉구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