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사관 ‘전라도 천년사’ 철저히 검증·수정해야
2023년 05월 08일(월) 00:00 가가
‘전라도 천년사’의 역사 왜곡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일제 식민사관에 기초한 표현들이 곳곳에서 발견되면서 시민사회단체와 지역 정치권의 우려와 반발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광주·전남·전북 지역 국회의원들은 엊그제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라도 천년사’는 ‘임나일본부’설의 근거가 되는 ‘일본서기’의 기술을 빌려오는 등 식민사관을 고스란히 노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공개된 내용을 보면 야마토(大和) 왜(倭)가 전라도에 있었다는 일본 사학자의 주장 등을 받아들여 왜인들이 전라도를 지배했다고 기술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호남의 지명 중 전북 남원을 ‘기문’으로, 해남을 ‘침미다례’로 기술하는 등 일본서기의 표현을 그대로 사용했다.
의원들은 이처럼 왜곡 기술된 부분에 대한 해명과 충분한 검토 시간 부여, 타당한 절차를 통한 수정을 요구했다. 광주시의회 의원들도 지난 1일 성명을 통해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인 ‘전라도 천년사’에 대해 편찬위원회가 단 2주간 홈페이지에 해당 내용을 공람하면서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며 보다 철저한 검증을 촉구했다.
‘전라도 천년사’는 정도(定道) 천년을 맞아 전라도 5000년 역사를 올곧게 재정립하기 위해 2018년부터 광주·전남·전북 등 호남권 세 개 시도가 24억 원의 예산을 들여 편찬한 34권, 2만 쪽에 달하는 방대한 역사서이다. 지난해 말 발간 봉정식을 앞두고 ‘전라도 오천년사 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가 식민사관 논란을 제기하고 나서면서 발간이 잠정 연기됐다.
호남은 임진왜란과 일제 강점기에 항일 의병운동을 주도했던 충절의 고장이다. 한데 지자체가 발간한 역사서에 일본서기에 뿌리를 둔 식민사관적 표현들이 담긴다면 순국선열을 모독하는 행위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편찬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의견 수렴과 철저한 공개 검증을 통해 오류를 바로잡아야 한다. 제기된 문제들이 수정되지 않는다면 차라리 출간을 중단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광주·전남·전북 지역 국회의원들은 엊그제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라도 천년사’는 ‘임나일본부’설의 근거가 되는 ‘일본서기’의 기술을 빌려오는 등 식민사관을 고스란히 노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은 이처럼 왜곡 기술된 부분에 대한 해명과 충분한 검토 시간 부여, 타당한 절차를 통한 수정을 요구했다. 광주시의회 의원들도 지난 1일 성명을 통해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인 ‘전라도 천년사’에 대해 편찬위원회가 단 2주간 홈페이지에 해당 내용을 공람하면서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며 보다 철저한 검증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