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개혁 나선 지방 대학, 정부 전폭 지원을
2023년 05월 04일(목) 00:00
학생 수 감소로 생존 위기에 직면한 광주·전남 지역 대학들이 고강도 구조 개혁에 나서고 있다. 정원 축소와 학과 통폐합 등 자구책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이다.

국립 목포대학교는 2024학년도부터 65개 신입생 모집 단위를 37개로 축소하고, 전체 학과의 30%인 15개 학과를 폐지하는 학사 구조 개편을 추진키로 했다. 이는 광주·전남은 물론 전국 국립대에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파격적이다. 대학 측은 특히 일선 학과·교수진 등 대학 구성원들과 긴밀한 토론을 통해 개편안을 확정했다. 지역 대학들이 저마다 구조 조정안을 내놓고 있지만 학내 반발로 제대로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목포대의 개편안은 특히 전남도의 주력 산업과 미래 산업에 발맞춘 실무형 융합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춰 주목받고 있다. 학문 전수에만 그치지 않고 학생 취업 및 지역 발전과 연계된 커리큘럼을 도입키로 한 것이다.

다른 지역 대학들도 30개 비수도권 대학에 5년간 최대 1000억 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하는 ‘글로컬(Global+Local) 대학 사업’에 선정되기 위해 혁신안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대학 구조 개혁의 핵심은 정원 감축과 학과 통폐합이 될 수밖에 없다. 위기의 근본 원인이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에 있고, 갈수록 정원에 미달하는 학과들이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도 높은 구조 조정에 나서는 대학에는 정부가 과감한 재정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일부 지역 대학들은 명예퇴직 희망자가 늘고 있음에도 퇴직금 지원 등 예산의 한계 때문에 본격적인 인력 감축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대해서도 정부가 전향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특히 일각의 우려처럼 선택과 집중 방식의 ‘글로컬 대학 사업’이 지방대 솎아내기로 변질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