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43주년…광주 찾는 여야 협치 물꼬 트고
2023년 05월 03일(수) 00:00
해마다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이 다가오면 여야 정치권은 앞다퉈 광주를 찾는다. 5월 정신 계승을 약속하며 호남 민심을 다잡기 위해서다. 43주년을 맞는 올해도 추모와 다짐의 발길은 어김없이 이어질 예정이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지난해에 이어 올 기념식에도 당 지도부와 소속 의원 전원이 참석할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이에 앞서 그제 윤리위원회를 열고 ‘5·18 정신 헌법 수록 반대’ 등의 설화를 빚은 김재원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절차를 개시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2년 연속 기념식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져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기념식에서 보수 정당 출신 대통령으로는 최초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특히 대선 후보 시절 “5·18은 자유민주주의와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5·18정신은 헌법 전문에 반드시 올라가야 한다”고 수차례 강조한 만큼 이번 기념식에서 구체적 방법을 제시할 것인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더불어민주당도 5·18 기념식 참석을 앞두고 고심이 깊어가고 있다. 대선·지방선거 패배,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이어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까지 불거졌는데도 제대로 된 성찰과 반성 없이 기득권에 안주하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여론조사에서 민주당에 대한 호남의 지지가 하락하는 추세여서 민심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정당·공천 혁신안을 제시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5월 정신은 민주·인권·평화의 가치를 실천해 나눔과 연대의 대동(大同) 세상을 여는 것이다. 하지만 여야는 민생을 외면한 채 극단의 대결 정치로 사사건건 정면충돌하고 있다. 정쟁만 난무하는 정치 현실은 5월 정신 앞에 무색하기 짝이 없다. 5·18 기념식에 참석하는 여야는 경제난과 전세 사기 사태 등 민생 현안 해결과 5·18 정신의 헌법 전문 반영을 위한 해법을 모색, 협치와 국민 통합의 물꼬를 터야 한다. 그것이 5월 정신을 실천하는 길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