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폐 기로 지방대 살리기 지역 사회 머리 맞대야
2023년 04월 28일(금) 00:00 가가
학령 인구 감소에 따른 정원 미달과 재정난으로 광주·전남 지역 대학들의 위기가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궁여지책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 등 생존 전략 마련에 골몰하고 있지만 마땅한 돌파구가 없어 존폐까지 걱정해야 할 처지다.
종로학원 분석에 따르면 광주·전남 지역 대학의 2023학년도 수시·정시 모집 마감 결과 모두 18개 대학에서 3029명의 결원이 발생, 추가 모집에 나서야 했다. 지난해의 경우 일반 대학 신입생 충원율은 광주 98.7%, 전남 92.7%에 그쳤다. 미래 전망은 더 암울하다. 이동규 동아대 교수의 ‘인구 변동과 미래 전망’ 보고서를 보면 2046년 국내 대학 수는 190개로 현재 385개 중 절반만 살아남을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전남 지역 대학 생존율은 19.0%로 다섯 곳 중 한 곳만 남을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 대학의 위기는 수도권 인구 집중과 저출생으로 인한 학령 인구 급감 탓이 크다. 신입생이 줄어드는데 등록금까지 14년째 동결되면서 재정 형편도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지역 대학들은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해 외국인 학생 유치에 안간힘을 기울이는 한편 정부가 전국 대학 30곳에 학교당 5년간 1000억 원을 지원하는 ‘글로컬 대학 30’ 선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이 사업이 서열화를 부추겨 탈락한 대학들은 고사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살생부나 매한가지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방대의 위기는 대학 자체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다. 경쟁력 저하로 문 닫는 대학이 늘어나면 주민과 청년들이 더 좋은 교육 여건과 직장을 찾아 대도시로 떠나면서 지역 소멸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지방 대학에 대한 보다 과감한 재정 지원과 지역 산업 활성화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야 한다. 대학 육성 권한을 부여받은 지자체들도 대학과 위기의식을 공유하면서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 등 동반 성장 방안을 찾아야 한다. 대학의 위기는 지역 사회 전체가 머리를 맞대고 풀어 가야 할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