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봉투 의혹’ 민주당 뼈 깎는 혁신이 살길이다
2023년 04월 27일(목) 00:00 가가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 사태로 위기감이 커진 더불어민주당이 수습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핵심 당사자인 송영길 전 대표가 전격 탈당과 동시에 조기 귀국하면서 일단 급한 불은 끈 형국이다. 하지만 추가 대응책을 둘러싼 당내 불협화음은 여전하다.
민주당 지도부는 우선 불법 정치 자금 근절을 위한 고강도 정당 혁신안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불법 정치 자금이 오갈 수 있는 구조 자체를 뜯어고쳐 사태의 재발을 막겠다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대의원에게 할당된 전당대회 표 비중(45%)을 대폭 줄여 현역 의원에 대한 금품 제공 유혹을 제거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돈 봉투 살포를 주도한 혐의를 받는 윤관석·이성만 의원에 대한 탈당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두 사람이 결자해지하지 않으면 이재명 대표가 출당이나 제명 같은 단호한 조치를 먼저 내려야 한다는 요구가 비명(비이재명)계에서 분출하고 있다. 한편에선 전수 조사나 자체 진상 조사 요구가 잇따라 제기되고 있지만 지도부는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이다. 강제력이 없어 비현실적이라는 것이다.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다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까지 겹치면서 현재 거론되는 수습책만으로는 국면 전환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당내 일각에서 이번 사태를 민주당이 환골탈태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까닭이다. 모든 것을 내려놓고 혁신의 바람으로 민심의 신뢰를 회복해 위기를 타개하자는 것이다.
이번 사태로 민주당에 대한 호남 민심의 실망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정당 개혁안도 필요하지만 반성의 진정성을 담기 위해선 내년 총선에서 공천 혁신으로 국민의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역 국회의원들의 기득권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공천 룰을 재검토해야 한다. 의원들이 스스로 기득권을 내려놓는 과감한 혁신만이 위기를 타개하는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돈 봉투 살포를 주도한 혐의를 받는 윤관석·이성만 의원에 대한 탈당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두 사람이 결자해지하지 않으면 이재명 대표가 출당이나 제명 같은 단호한 조치를 먼저 내려야 한다는 요구가 비명(비이재명)계에서 분출하고 있다. 한편에선 전수 조사나 자체 진상 조사 요구가 잇따라 제기되고 있지만 지도부는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이다. 강제력이 없어 비현실적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