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앞 총선…호남 민심은 변화를 원한다
2023년 04월 11일(화) 00:00 가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왔다. 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총선은 집권 3년차를 맞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이자 현재의 여소야대 국회 판도가 어떻게 변할지 결정되는 무대다.
총선이 다가오면서 국민의힘은 거야 심판론,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론을 내걸고 일찌감치 공방전에 돌입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정권 심판론이 우세한 상황이다. 일단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30%대 초중반에 머물고 있다. 한국갤럽의 지난 4~6일 조사에선 내년 총선에 ‘정부 견제를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50%로 ‘정부 지원을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36%)보다 높았다.
이런 상황에서 거대 양당인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사사건건 대립하며 극한 대치를 반복하고 있다. 대화와 타협이 없는 ‘정치 실종’이 일상화된 원인으로는 승자 독식과 양당 중심 적대 정치를 부추기는 현행 소선거구제가 꼽히는 만큼 비례성과 대표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바꿔 정치 양극화를 막아야 한다.
진보 진영의 심장 역할을 해 온 호남 민심의 선택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역 특성상 호남의 경쟁 구도는 민주당의 강한 우세가 점쳐지지만 최근의 저조한 투표율로 볼 때 독점 구도는 다소 완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서진 정책을 펴 온 국민의힘은 선전을 자신하고 있고, 진보정당들도 지역 교두보 확보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지역 국회의원들의 정치력 부재에 대한 실망감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현역 물갈이 폭도 관심사다. 16대 이후 역대 총선에서 광주·전남 현역 의원 교체 비율은 과반을 넘는 경우가 많아 변화에 대한 민심의 열망을 반영하고 있다. 내년 총선에서도 지역 유권자들이 ‘묻지 마 지지’가 아니라 산적한 현안들을 풀어내고 호남 정치의 위상을 끌어올릴 역량 있는 중진을 키우고 신진을 발탁하는 전략적 선택에 나설지 주목된다.
총선이 다가오면서 국민의힘은 거야 심판론,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론을 내걸고 일찌감치 공방전에 돌입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정권 심판론이 우세한 상황이다. 일단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30%대 초중반에 머물고 있다. 한국갤럽의 지난 4~6일 조사에선 내년 총선에 ‘정부 견제를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50%로 ‘정부 지원을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36%)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