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이웃을 돕는 일…헌혈부터 시작해 보세요”
2023년 02월 24일(금) 01:00 가가
헌혈 명예장(100회) 받은 김정민 동행재활요양병원 의료원장
조선대 의대시절 ‘헌혈의 집’서 첫 헌혈…뿌듯함 느껴
“현혈증 모두 기부…많은 분들 ‘혈액나눔’ 동참했으면”
조선대 의대시절 ‘헌혈의 집’서 첫 헌혈…뿌듯함 느껴
“현혈증 모두 기부…많은 분들 ‘혈액나눔’ 동참했으면”
“이웃을 돕는다는 것은 거창한 무언가가 아닙니다. 혈액나눔, 헌혈부터 시작해 보세요.”
김정민 동행재활요양병원 의료원장은 최근 대한적십자로부터 헌혈 100회를 달성한 이에게 주어지는 ‘명예장’ 포장을 받았다.
김 원장의 이번 명예장은 근무하고 있는 동행재활요양병원 식구들과 함께한 단체 헌혈의 날에 받게 돼 그 의미가 남다르다.
김 원장은 “환자들을 돌보느라 시간을 내 헌혈을 하기 어려운 때도 있었는데, 우연히 병원 가족들과 단체 헌혈을 하는 날 100회를 달성하게 돼 의미가 있는 것 같다”며 웃었다.
김 원장이 헌혈을 시작한 건 대학교 재학시절이다. 조선대 의과대학 학생이던 때, 당시 학교 후문에 헌혈의 집이 생겼다.
“의대에 입학했지만 의료봉사에 나서기엔 실력이 모자랐습니다. 어떻게하면 이웃을 도울 수 있을까, 고민하다 헌혈의 집을 보고 무작정 들어갔지요. 첫 헌혈을 마치고 느껴지는 뿌듯함이 너무 좋아 이후 주기적으로 헌혈의 집을 찾게됐죠.”
그의 헌혈에 대한 관심은 남다르다. 수련의와 공중보건의 시절 헌혈이 제한되는 지역에 거주했던 터라, 근무기간을 마치고 광주로 돌아온 뒤 바로 헌혈의 집을 찾았을 정도였다.
100회를 넘게 헌혈했지만 김 원장이 가지고 있는 헌혈증은 단 한장도 없다. 모두 필요한 이들에게 기부했기 때문이다.
“주변에 헌혈증이 필요하다는 연락이 오면 그때그때 헌혈증을 나누고 있습니다. 크게는 혈액수급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또한 헌혈증을 기부받은 환자는 그만큼 병원비를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어요.”
최근에도 ‘어느 환자가 심장수술 후 수혈이 필요하다’는 주변의 얘기를 듣고 헌혈증을 건네기도 했다.
김 원장은 꾸준히 헌혈을 이어가기 위해 건강관리도 병행하고 있다. 식단조절을 통해 몸무게를 20년째 유지하고 있으며 술, 담배는 입에도 대지 않는다.
그의 헌혈 열정에 가족들은 행여 생활패턴이 깨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건 아닐까 하는 우려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헌혈 또한 진료처럼 아픈 이들을 돕는 행위라는 게 김 원장의 철학이다.
김 원장은 “도움은 물질적 도움 만이 아니다. 주위의 누군가 힘들어할 때 베푸는 작은 배려가 그 출발이 될 수 있다”며 “헌혈 조건이 완화됐으니 많은 분들이 혈액나눔에 동참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김정민 동행재활요양병원 의료원장은 최근 대한적십자로부터 헌혈 100회를 달성한 이에게 주어지는 ‘명예장’ 포장을 받았다.
김 원장의 이번 명예장은 근무하고 있는 동행재활요양병원 식구들과 함께한 단체 헌혈의 날에 받게 돼 그 의미가 남다르다.
김 원장이 헌혈을 시작한 건 대학교 재학시절이다. 조선대 의과대학 학생이던 때, 당시 학교 후문에 헌혈의 집이 생겼다.
“의대에 입학했지만 의료봉사에 나서기엔 실력이 모자랐습니다. 어떻게하면 이웃을 도울 수 있을까, 고민하다 헌혈의 집을 보고 무작정 들어갔지요. 첫 헌혈을 마치고 느껴지는 뿌듯함이 너무 좋아 이후 주기적으로 헌혈의 집을 찾게됐죠.”
그의 헌혈에 대한 관심은 남다르다. 수련의와 공중보건의 시절 헌혈이 제한되는 지역에 거주했던 터라, 근무기간을 마치고 광주로 돌아온 뒤 바로 헌혈의 집을 찾았을 정도였다.
“주변에 헌혈증이 필요하다는 연락이 오면 그때그때 헌혈증을 나누고 있습니다. 크게는 혈액수급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또한 헌혈증을 기부받은 환자는 그만큼 병원비를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어요.”
김 원장은 꾸준히 헌혈을 이어가기 위해 건강관리도 병행하고 있다. 식단조절을 통해 몸무게를 20년째 유지하고 있으며 술, 담배는 입에도 대지 않는다.
그의 헌혈 열정에 가족들은 행여 생활패턴이 깨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건 아닐까 하는 우려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헌혈 또한 진료처럼 아픈 이들을 돕는 행위라는 게 김 원장의 철학이다.
김 원장은 “도움은 물질적 도움 만이 아니다. 주위의 누군가 힘들어할 때 베푸는 작은 배려가 그 출발이 될 수 있다”며 “헌혈 조건이 완화됐으니 많은 분들이 혈액나눔에 동참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