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 - 로런스 C. 스미스 지음, 추선영 옮김
2023년 01월 05일(목) 19:00 가가
강줄기 따라 흘러온 인류의 역사와 문명
![]() ![]() |
오랜 시간 흘러온 강을 조명한 ‘리버’는 매력적인 책이다. 저자는 브라운대학교 지구, 환경 및 행성과학학부 교수인 로런스 C. 스미스다. 그는 인류 문명을 강과 연계해 다채로우면서도 역동적으로 풀어낸다.
역사 이래로 인류는 강을 다양한 방식, 다시 말해 강이 제공하는 이점을 환경에 맞게 활용했다. 자연자본, 접근성, 영토, 복리, 권력 과시 수단이 그것이다.
저자에 따르면 나일강은 홍수를 일으켜 토사를 제공했다. 오늘날 나일강은 수력발전, 상수도, 카이로 시내를 관통하는 강변의 부동산을 공급했다. 미국 북동부 허드슨강은 뉴욕에 수변공원을 제공한 점이 그것이다. 각각의 모습은 다를 수 있지만 그러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이어져왔다.
또한 인류 최초의 역사는 모두 큰 강을 연해서 탄생했다. 티그리스 유프라데스강, 인더스강, 나일강, 황허강을 토대로 인류의 찬란한 문명이 발달할 수 있었다.
강을 모티브로 문화 예술도 꽃을 피웠다. 종교 외에도 문학을 비롯해 다양한 예술 장르가 강을 주제로 펼쳐졌다. 빈센트 반 고흐와 피에르 르누아르의 그림과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글은 상당수 강에서 영감을 얻었다. 마크 트웨인의 소설 ‘허클베리 핀’도 강을 매개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특징이 있다.
“오늘날 강은 퇴적물을 바다로 실어 나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부분의 강에 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고 대부분의 강이 인위적으로 유속을 낮춘 도시를 지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사실을 간과한다. 그래도 강이 이긴다. 강이 인간보다 더 오래오래 지구에 남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시공사·2만3000원>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