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기업 4곳 중 3곳 ‘변동금리’…절반 이상 “대출금리 5% 이상”
2022년 10월 13일(목) 13:50
광주상의, 120개사 기준금리 인상 영향 실태조사
97.5% “금리 연속 인상으로 경영활동 영향 받아”
자금 사정 악화 67.5%·영업실적 부진 36.8% 등
대출금리 ‘4% 미만’ 74.2%…8개월 새 3분의 1로 ‘뚝’
기업들 “금리인상 속도 조절·정책자금 확대 절실”

<광주상공회의소 제공>

광주·전남 기업 4곳 중 3곳이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가운데 지역기업의 97.5%가 연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영 활동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연초 대출금리가 4% 미만인 기업 비중은 74.2%에 달했지만 지난달 기준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0.8%)은 5% 넘는 금리를 감당하고 있었다.

13일 광주상공회의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지역기업 영향 및 대응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광주상의는 지난 9월26일부터 30일까지 광주·전남 기업 12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였다.

응답 기업 4곳 중 3곳(75.0%)은 변동금리 대출을 받아 최근 5연속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시중금리 급등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기업 절반 이상(53.3%)은 담보대출을 받았고, 신용대출(26.7%)과 보증 대출(20.0%) 등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 기업의 대다수(97.5%)는 “연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영 활동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응답자 가운데 ‘매우 영향이 클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60.0%에 달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어떤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하느냐고 묻자 ‘자금 사정 악화’(67.5%·다중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경기침체에 따른) 영업실적 부진’(36.8%)을 걱정하거나 ‘설비투자 지연·축소’(10.3%), ‘사업추진 지연’(6.8%), ‘회사 자산가치 하락’(0.9%) 등도 우려하는 점으로 택했다.

지역 기업들에 적용된 대출금리는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기업대출 금리가 ‘4% 미만’이었다고 답한 기업은 전체의 74.2%에 달했지만, 지난달에는 이 비중이 20.8%로 3분의 1 토막 수준으로 줄었다. 금리가‘ 5~6% 미만’이라는 응답률이 34.2%로 가장 많았고, ‘6% 이상’을 내는 기업 비중은 16.6%에 달했다.

기업 45.8%는 손익분기 상 감내할 수 있는 최대 금리 수준은 ‘4% 미만’이라고 답했다.

지역 기업들이 내야 할 대출이자는 치솟고 있음에도 응답 기업들의 75.9%는 “아직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대응 또는 대응 준비 중’이라는 비율은 24.1%에 불과했다.

금리 인상에 대응하거나 대응 준비 중이라고 답한 기업들은 ‘비용 절감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41.4%·다중응답) 또는 ‘차입금 상환 등을 통한 재정 건전성 강화’(31.0%) 등을 주요 방안으로 꼽았다. ‘대출 상환유예 신청’(20.7%), ‘고정금리로 전환’(6.9%), ‘투자 규모 감소’(6.9%) 등이 뒤를 이었다.

고금리·고환율·고물가 ‘삼중고’ 속에서 기업들의 자금 수요는 많아졌지만, 응답 기업 5곳 중 2곳(38.3%)만 올해 정책자금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61.7%는 올해 정책자금 대출을 받지 않았다.

대출받지 않은 이유로는 ‘정책자금 수혜대상에 해당하지 않아서’(43.2%·다중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금리 인상과 관련해 지역 기업으로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금리 인상 속도 조절’(17.9%), ‘정책자금 지원 확대’(16.1%), ‘금리 차액지원’(14.3%), ‘기업 여건에 맞는 대출 지원 세분화’(14.3%) 등을 요구했다.

이외 ‘기업지원책 확대’(7.1%), ‘고정금리 전환 지원’(7.1%), ‘정책자금 수혜 대상 확대’(7.1%), ‘정책자금 금리 인하’(5.4%), ‘대출 규제 완화’(3.6%), ‘정책자금 대출절차 간소화’(3.6%), ‘환율 조절’(3.6%) 등 답변도 있었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부터 경기가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와중에 금리 인상에 따른 재정부담까지 더해지면서 지역기업들이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기업들이 고금리·고환율 등의 경기 불확실성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금리·환율 안정과 함께 정책자금 지원 및 지원자격 세분화 등 정부 차원의 다각적인 기업지원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