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부상자회 “행불자 전수조사 나서야”
2022년 09월 28일(수) 20:45 가가
행불 비인정자 추가 접수 시작
오월단체가 최근 5·18 당시 행방불명자 염경선씨의 암매장 사실이 밝혀진 데 따라 행방불명자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는 28일 광주시 서구 쌍촌동 5·18기념재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행방불명자로 인정되지 못한 사람들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굴된 유골에서 5·18 행방불명자의 DNA가 검출됐다”며 “그동안 계엄군에 의한 헬기사격이나 암매장이 없었다고 주장해 왔던 신군부의 거짓말이 하나씩 드러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5 18민주화운동 관련자 1~7차 보상금 지급 조사 당시 가족이 행방불명됐다고 접수해 온 사람 중 많은 사람들이 행방불명자로 인정받지 못했다”며 “단체 차원에서 이들 비인정자에 대해 추가 접수를 받아 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돕겠다”고 했다.
단체는 “올해까지인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5·18진상조사위)의 조사 기간을 연장해 진상 규명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며 “아울러 추가 발견된 행방불명자들이 5·18 참여 유공자로 인정돼 배상받을 수 있도록 국회에 계류 중인 8차 5·18 배상법안이 신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단체는 28일부터 행방불명 비인정자에 대한 추가 신청·접수를 받기 시작했다. 접수시 개인정보동의와 채혈동의서를 받으며 명단은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 전달할 예정이다.
이날 회견에는 1980년 5월 18일 상무대에 간다며 집을 나섰다 행방불명된 고물장수 최영찬(당시 50세)씨의 아들 최승철씨도 참석했다. 최씨는 “나이 60이 되도록 아버지가 어디 계신지도 모르고 한 많은 삶을 살았다”며 “염경선씨 일을 계기로 우리 아버지도 찾을 수 있게 도와달라”고 말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는 28일 광주시 서구 쌍촌동 5·18기념재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행방불명자로 인정되지 못한 사람들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 18민주화운동 관련자 1~7차 보상금 지급 조사 당시 가족이 행방불명됐다고 접수해 온 사람 중 많은 사람들이 행방불명자로 인정받지 못했다”며 “단체 차원에서 이들 비인정자에 대해 추가 접수를 받아 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돕겠다”고 했다.
이날 회견에는 1980년 5월 18일 상무대에 간다며 집을 나섰다 행방불명된 고물장수 최영찬(당시 50세)씨의 아들 최승철씨도 참석했다. 최씨는 “나이 60이 되도록 아버지가 어디 계신지도 모르고 한 많은 삶을 살았다”며 “염경선씨 일을 계기로 우리 아버지도 찾을 수 있게 도와달라”고 말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