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성 살리면서 개발이익도 공유해야
2021년 11월 15일(월) 01:00
광주의 근대산업 유산인 북구 임동 일신방직과 전방(옛 전남방직) 공장 부지가 신구 도심의 균형 발전을 위한 전략적 중심 상업지로 개발된다. 그동안 보존 여론이 높았던 화력발전소, 보일러실, 고가(高架)수조 등 8·15 광복 이전 시설물들은 도시계획상 공원·녹지로 지정해 원위치에 원형 보존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광주시는 엊그제 시청에서 ‘전방·일신방직 부지 개발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기본 개발 계획과 공장 건축물 보존 원칙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이들 세 개 시설물 이외에 광복 이후 설치된 생산·저장·생활·관리 등 27개 시설도 역사·장소·문화적 가치에 대한 평가를 거쳐 활용 가치가 높은 시설은 적극 보존하기로 했다.

시는 또한 해당 부지를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도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중심 상업지로 개발하기로 했다. 아파트 및 주거 위주의 개발을 지양하고 상업·업무·사회·문화 시설의 융복합 개발을 원칙으로, 도로·공원·녹지·공공용지를 충분히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광주시가 마련한 계획은 건축·문화재 전문가, 시민단체, 주민 등이 참여한 기획단이 지난해 8월부터 23차례나 회의를 거쳐 확정했다는 점에서 지역 사회의 다양한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개발 업체와 상당수 주민들은 형체조차 알아보기 힘든 일부 시설의 보존에 반대하며 대규모 개발을 요구하고 있어 향후 협상 과정에서 진통이 우려된다.

1930년대 건축이 시작된 이들 방직 공장은 일제 강점기 수탈의 아픔과 지역의 산업화, 그 과정에서 여공들의 애환이 서린 근대문화 유산으로 보존 가치가 크다. 업체와 주민 및 시민사회 간 입장 차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공공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발과 보존이 조화를 이루고, 개발 이익을 지역사회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