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대 ‘정비 인프라’ 확충도 시급하다
2021년 10월 27일(수) 01:00 가가
광주·전남 지역에 전기차가 매년 빠르게 늘고 있지만 정비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운전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내연기관차의 엔진이나 변속기가 빠진 대신 배터리와 모터가 들어간 전기차는 고장이 날 경우 동네 카센터에서는 수리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015년 304대에 불과했던 연간 전기차 보급 대수는 올 들어서는 지난 9월까지 3816대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지난 6년간 광주·전남에 보급된 전기차는 1만 3540대에 달한다.
바야흐로 전기차 시대가 열리고 있지만 문제는 기존 내연기관차와 달리 고장이 나면 동네 정비업체에서는 사실상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동네 카센터들은 전기차 수리를 의뢰할 경우 자동차 제작사가 지정한 서비스센터로 갈 것을 권유하고 있다. 고가의 배터리가 차량 하부에 깔려 있는 전기차의 경우 잘못 건드리면 고액의 수리비를 물어 줘야 하고, 모터 등에 고압 전류가 흘러 감전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전기차 이용의 걸림돌이었던 주행 거리 및 충전소 확대는 어느 정도 이뤄진 반면 정비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데서 비롯되고 있다. 정부는 현재 1100개인 전기차 정비소를 2025년까지 세 배로 확대한다는 계획이지만 이는 대기업 완성차 제작사가 운영하는 정비업체에 국한된 것이다. 동네 카센터에 대한 대책은 없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최근 현대차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은 전기차와 수소차를 주축으로 한 전동화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어 10년 뒤쯤에는 내연기관차는 구매조차 힘들어질 전망이다. 전기차 확대는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따라서 정부는 정비 사업자와 종사자에 대한 전기차 정비 교육과 인프라 구축을 서둘러 시민들이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바야흐로 전기차 시대가 열리고 있지만 문제는 기존 내연기관차와 달리 고장이 나면 동네 정비업체에서는 사실상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동네 카센터들은 전기차 수리를 의뢰할 경우 자동차 제작사가 지정한 서비스센터로 갈 것을 권유하고 있다. 고가의 배터리가 차량 하부에 깔려 있는 전기차의 경우 잘못 건드리면 고액의 수리비를 물어 줘야 하고, 모터 등에 고압 전류가 흘러 감전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