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들 호남 공약 좀 더 신선한 것 없나
2021년 09월 08일(수) 02:00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이 본격화하면서 호남 표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체적인 경선 판도가 1차 선거인단 투표(슈퍼위크·12일)와 추석 연휴 직후의 호남 지역 경선(광주·전남 25일, 전북 26일)에서 결정지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64만 명에 달하는 1차 선거인단의 경우 호남 색채가 뚜렷하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정치권에선 1차 선거인단에 호남 및 전국의 호남 연고 유권자들이 40% 정도 참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호남 지역 경선 선거인단은 20만3613명으로 충청(7만64532명), 대구·경북(1만6128명), 강원(1만6278명) 선거인단 합계의 두 배에 이른다. 호남 표심이 어느 후보로 향하느냐에 따라 경선 판도에 지각변동일 일어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각 후보 진영에서는 호남 민심의 눈높이에 맞는 공약 발굴과 메시지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문제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출마한 예비후보들이 제시한 국가균형발전 및 호남 발전 공약이 대부분 과거 정부에서 나온 정책과 차별성이 없는 데다 내용도 빈약하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나온 민주당 대선 주자들의 호남 공약은 대동소이하다.

광주는 군 공항 이전, AI(인공지능) 산업 기반 조성, 광주형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 자동차산업 육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활성화 등이다. 전남은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산업 육성, 우주·항공 산업 유치, 스마트 농수산업 기반 조성, 전남 지역 의대 설립을 토대로 하는 공공의료 분야 확충 등이 거론되고 있다. 광주·전남 공동 공약으로는 도로·항만·철도 등 SOC 확충, 호남권 메가시티 조성, 에너지 공동체 프로젝트인 RE 300 등이 제시된다.

물론 이 같은 사업은 호남 발전을 위해 대단히 중요한 현안이긴 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대선에 출마한 예비후보들의 공약이 대부분 진부한 데다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큰 그림이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호남 민심을 움직일 수 있는 두 축은 정권 재창출과 낙후된 지역 발전이다. 따라서 각 진영에서는 지금이라도 호남의 미래를 열어 갈 수 있는 획기적인 공약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