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급감·지방소멸 당장 지금부터 대비를
2021년 08월 23일(월) 01:00
광주와 전남의 인구가 2117년에는 각기 35만 명과 49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기준 광주시 인구 148만 명, 전남도 180만 명인 점을 감안하면 96년 뒤에는 246만 명의 인구가 사라지는 셈이다. 예견된 일이지만 충격적인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이 같은 인구 감소 추세와 함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지속되면서 지방 소멸 현상도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 저출산·고령화가 지금처럼 지속되면 국내 인구도 꾸준하게 감소해 1510만 명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감사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인구 구조변화 대응실태’ 감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전남 등 13개 시도에서 30년 후인 2047년에는 최대 23.2%의 인구가 감소하고 50년 후인 2067년에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인구가 최대 44.4%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전국 229개 시·군·구 중 2047년에는 157개, 2067년 216개, 2117년엔 221개 지역이 ‘소멸고위험지역’에 들 것으로 보인다.

전남의 경우 지난 2017년 인구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고흥·보성·함평·신안 등을 비롯해 30년 뒤인 2047년에는 구례·진도 등이 전국 222개 시·군 중 미래 소멸위험지수 상위 20위 안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됐다. 광주시의 경우도 2047년에는 북구와 서구 등이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동안 출산·양육 지원에 치우쳤던 저출산 대책에서 벗어나 이제는 지역 인구 불균형 문제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종합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한국은 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다. 그럼에도 개발 및 인프라 건설은 멈추지 않고 있는데 이는 미래 세대에게는 부담이 될 뿐이다. 지금 당장 지속 가능한 도시를 위한 설계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