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강력 대응해야
2021년 04월 14일(수) 05:00 가가
일본 정부가 국제 사회의 반대에도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공식 결정했다. 실제 방류가 이뤄질 경우 오염수가 이르면 한 달 이내에 전남 앞바다까지 흘러들 것으로 전망돼 어민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지난해 10월 국내외의 반대에 부딪쳐 오염수 방류 방침을 보류했던 일본 정부는 어제 각료회의에서 ‘해양 방류’를 최종 결정했다. 이에 따라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앞으로 2년 뒤 해양 방류에 나서게 된다. 해당 오염수는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녹아내린 원자로 시설에 빗물과 지하수 등이 유입되면서 나온 것이다. 지금까지 모인 양만 약 125만 톤에 이른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농도를 낮춰 방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문제는 그 안에 현재 기술로는 제거할 수 없는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 60여 종이 포함돼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일본 정부의 이번 결정은 이웃 국가의 안전은 아랑곳하지 않는 이기적인 행위일 뿐이다. 게다가 삼중수소는 반감기가 12년으로 장기간 육상에 보관하면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데도, 비용이 저렴한 해양 방류를 택했다는 점에서 비난받아 마땅하다.
여기에 김상희 의원(민주당)이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의뢰해 받은 각종 자료를 분석한 결과,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출 때 세슘 등 핵종물질(방사능을 방출하는 물질)의 농도가 미량일 경우 한 달 내에 서해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했다. 이렇게 될 경우 국내 수산물 생산 기지인 전남 지역 어민들은 엄청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오염수 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은 매우 소극적이라는 평가다. 일본의 일방적 오염수 방류는 국제해양법 위반 소지가 크므로 법적인 제재까지 염두에 두고 강력하게 대처해야한다. 그것만이 우리의 바다를 지키고 어민들을 보호하는 길이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농도를 낮춰 방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문제는 그 안에 현재 기술로는 제거할 수 없는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 60여 종이 포함돼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일본 정부의 이번 결정은 이웃 국가의 안전은 아랑곳하지 않는 이기적인 행위일 뿐이다. 게다가 삼중수소는 반감기가 12년으로 장기간 육상에 보관하면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데도, 비용이 저렴한 해양 방류를 택했다는 점에서 비난받아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