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의회 리모델링 ‘호화판’ 이래도 되는가
2021년 03월 29일(월) 00:00 가가
최근 청사 리모델링을 마무리한 광주 북구의회가 주민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멀쩡한 가구나 전자제품을 내다 버리고 수백만 원짜리로 교체하는가 하면, 2인 1실로 사용하던 의원 사무실도 혼자 쓸 수 있도록 넓혔기 때문이다.
북구의회가 의원실과 본회의장 등의 가구·전자제품을 구입하는 데 들인 비용은 모두 1억 8600만 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청사 리모델링 예산 15억 8900만 원과는 별도다. 세부 지출 내역을 보면 의원들이 사용할 책상으로 110만 원짜리 14개를 구입했는데, 이는 조달업체 홈페이지에 올라온 ‘중역용 가구’ 중 최고급이었다.
특히 본회의장 내 의장석과 의회 사무국장석의 책상을 바꾸는 데만 1480만 원을 들여 과도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여기에 사무용 의자·책장·회의용 탁자·문서파쇄기·레이저프린터 등 사무용품은 물론 벽걸이TV·냉장고·공기청정기 등 전자제품을 교체하는 데 1인당 700만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 다만 의장·부의장·상임위원장(4명) 사무실의 경우는 기존 집기를 그대로 쓰기로 했다니 그나마 기특하다고 해야 할까.
북구의회는 이번 리모델링을 통해 지역구 주민들과 민감한 민원 대화를 나누는 데 불편하다는 이유로 2인 1실로 사용하던 의원 사무실도 1인실로 바꿨다. 하지만 북구 공무원들의 경우 청사가 비좁은 탓에 따닥따닥 붙어 일하거나 일부는 외부 상가의 사무실을 빌려 쓰는 등 열악한 여건에서 일하고 있다.
북구의회는 최근 일부 의원이 구청과 수의계약을 통해 이권을 챙기는 등 잇단 비위로 주민들의 공분을 샀다. 더욱이 코로나19로 민생고가 커지는 상황에서 의원들이 자신들을 위해 시민의 세금을 펑펑 물 쓰듯이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지방자치가 부활된 지 30년을 맞았지만 아직도 지방의회 무용론이 끊이지 않고 있는 이유를 의원들 스스로 되새겨 봐야 할 것이다.
특히 본회의장 내 의장석과 의회 사무국장석의 책상을 바꾸는 데만 1480만 원을 들여 과도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여기에 사무용 의자·책장·회의용 탁자·문서파쇄기·레이저프린터 등 사무용품은 물론 벽걸이TV·냉장고·공기청정기 등 전자제품을 교체하는 데 1인당 700만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 다만 의장·부의장·상임위원장(4명) 사무실의 경우는 기존 집기를 그대로 쓰기로 했다니 그나마 기특하다고 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