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닻 올린 ‘한전공대’ 과제도 만만찮다
2021년 03월 26일(금) 05:00 가가
지역민들의 숙원인 한전공대특별법이 엊그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제 한전공대 설립을 위한 법적 장치가 마련되면서 대규모 재정 투입이 가능해져 자칫 차질을 빚을 뻔했던 한전공대 내년 3월 개교가 가능해졌다.
법안 통과에 따라 대학 명칭은 한국전력공과대학에서 한국에너지공과대학으로 바뀌고 사립학교 법인도 특수법인으로 전환된다. 조만간 시행령이 공표되면 설립 작업이 본격화된다. 5월 3일까지 입학 전형을 발표하고 신입생 선발과 캠퍼스 착공을 거치면 내년 3월 개교에는 차질이 없을 전망이다. 지역민들의 오랜 숙원을 해결했다는 점에서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최우선 과제는 학교 부지를 제공한 부영 측에 과도한 특혜를 주고 있다는 의혹을 불식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부영 특혜 논란은 특별법 제정 과정에서도 가장 큰 쟁점이 됐던 만큼 전남도와 나주시가 약속한 개발이익 환수 조치 외에도 과도한 개발이익을 거둬들이는 추가적인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근본적으로는 한전공대와 광주·전남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 대학인 만큼 인재 양성과 연구 기반을 구축해 한전공대의 성과가 지역에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낙수 효과’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광주과기원 등 지역 대학과 연계한 연구개발 기반 구축으로 초강력 레이저센터와 방사광가속기 등 국가 전략시설 유치에 나서 산학연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과학고 등 지역 고교와의 협업 필요성과 신입생 선발 시 최소한의 지역 인재를 배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한국에너지공대 설립추진위원회는 지역 인재 전형은 없다고 밝히고 있지만 혁신도시 정신을 살리고 설립 목적이 유사한 울산과학기술원의 사례를 보아도 이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무튼 우여곡절 끝에 대학 설립 기반을 마련한 만큼 추진 과정에서 부영의 특혜 논란을 잠재우고 운영 측면에선 지역과 상생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법안 통과에 따라 대학 명칭은 한국전력공과대학에서 한국에너지공과대학으로 바뀌고 사립학교 법인도 특수법인으로 전환된다. 조만간 시행령이 공표되면 설립 작업이 본격화된다. 5월 3일까지 입학 전형을 발표하고 신입생 선발과 캠퍼스 착공을 거치면 내년 3월 개교에는 차질이 없을 전망이다. 지역민들의 오랜 숙원을 해결했다는 점에서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