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경쟁 드라마 시장 연기력 보증된 중고신인 인기
2021년 03월 01일(월) 17:49
‘빈센조’ 전여빈, ‘타임즈’ 이주영 등
플랫폼 다변화로 드라마 급증 원인
제작비 고려, 연기 안정성 배우 필요

전여빈

플랫폼 다변화로 무한경쟁시대에 돌입한 드라마 시장에서 탄탄한 연기력이 뒷받침된 중고신인들의 활약이 돋보이고 있다.

최근 tvN ‘빈센조’와 OCN ‘타임즈’에서 톱스타인 송중기와 이서진에게 밀리지 않는 연기력을 선보이는 전여빈과 이주영이 대표적이다.

최근 들어 중고신인들이 주연을 맡아 활약하는 것은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톱배우 기근’ 시기가 찾아오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전문가들은 드라마 편수의 급격한 증가를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이 자리를 잡고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까지 등장하며 드라마를 선보이는 플랫폼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 그 뒤에는 제한된 출연료 등 경제적인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공희정 드라마평론가는 “대중들에게는 신선함을 주면서도 연기적으로 안정성을 가져갈 수 있는 인물을 찾은 결과”라고 분석했다.

작품 수 자체가 적었던 과거에는 톱배우들을 내세우는 것만으로도 성공을 어느 정도 담보할 수 있었지만,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각본이나 화려한 연출로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드라마들이 대거 나타나면서 배우의 이름만으로는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게 됐다.

따라서 톱배우보다는 역할에 더 확실하게 들어맞는 연기를 할 수 있는 배우를 찾게 되다 보니 자연스럽게 연극계 혹은 독립영화 등에서 다부진 연기력을 입증받은 이들을 주연으로 활용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주영
이주영과 전여빈도 각각 2012년, 2015년부터 독립영화를 발판 삼아 꾸준하게 필모그래피를 쌓아 올리면서 영화제에서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등 그 연기력을 입증받은 바 있다.

현재 JTBC 드라마 ‘선배, 그 립스틱 바르지 마요’에서 주연을 맡은 원진아와 올해 방송 예정인 JTBC ‘로스쿨’에서 주연을 맡은 류혜영도 마찬가지다.

중고신인들이 주목받는 보다 근본적인 배경에는 제한된 예산이 자리 잡고 있다는 걸 부정하기는 어렵다. 흥행을 위해 남자 배역에 톱배우를 캐스팅하면서 제작비를 고려해 여자 주인공으로는 중고신인을 쓰게 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