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밭길 마다하지 않는 사람만이 꽃 피울 수 있다
2020년 12월 10일(목) 09:00 가가
김병수 시인 ‘똥밭길 먼 …’
더럽다는 이미지의 가운데 하나가 똥이다. 이 같은 똥에 대한 더러움과 두려움은 다분히 부정적인 관점에서 연유한다. 그러나 똥밭길을 마다하지 않는 사람만이 한 송이 꽃을 피울 수 있다.
전남지방우정청장을 역임한 김병수 시인이 펴낸 ‘똥밭길 먼 새벽을 걷는다’(지혜)는 삶의 여정에서 밟게 되는 똥을 두려워 말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지난 2020년 ‘계간문예’로 등단한 시인은 행시를 통해 공직에 입문했으며 오랫동안 관료로 근무했다. 이번 시집은 일상에 뿌리를 둔 작품집으로 더러움의 대명사로 인식된 똥에 대한 성찰을 통해 ‘해인海印의 길-사랑의 길’을 펼쳐 보인다.
이번 시집은 다양한 사물이 등장한다. ‘깃대’, ‘내비’, ‘가시’, ‘담배꽁초’, ‘지하철’ 등 일상에서 맞닥뜨리는 친숙한 소재를 그렸다. 그 가운데 압권은 역설적 의미를 투영한 ‘똥’이다.
“살면서/ 똥 밟는 서러움은/ 구린내가 아니다/ 똥 밟는 순간 누구나/ 세상의 똥이 되기 때문이다// 살면서/ 똥 밟지 않는 자 없다/ 한 번도 똥 밟지 않는 자는/ 산 자가 아니다/ 그야말로 세상의 진짜 똥이다// 살면서 똥 밟는 것 두려워마라/ 두려움은 세상 가장 구린 똥/ 꽃 붉게 피우려는 자/ 똥밭길 먼 새벽을 걷는다”
시인은 대상에만 집착하면 보지 못하는 본질에 집중한다. 보이는 것 이면에 드리워진 진실을 볼 것을 완곡한 어법으로 풀어낸다.
마치 ‘달을 가리키는 손을 보지 말고 달을 보라’는 의미로 다가온다. 보이는 것에 매여 진실을 왜곡하는 이들에 대한 비판이자, 그럼에도 진실을 보려는 사람들에 대한 애정어린 시각이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전남지방우정청장을 역임한 김병수 시인이 펴낸 ‘똥밭길 먼 새벽을 걷는다’(지혜)는 삶의 여정에서 밟게 되는 똥을 두려워 말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번 시집은 다양한 사물이 등장한다. ‘깃대’, ‘내비’, ‘가시’, ‘담배꽁초’, ‘지하철’ 등 일상에서 맞닥뜨리는 친숙한 소재를 그렸다. 그 가운데 압권은 역설적 의미를 투영한 ‘똥’이다.
마치 ‘달을 가리키는 손을 보지 말고 달을 보라’는 의미로 다가온다. 보이는 것에 매여 진실을 왜곡하는 이들에 대한 비판이자, 그럼에도 진실을 보려는 사람들에 대한 애정어린 시각이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