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2020년 06월 10일(수) 00:00 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주요 7개국 정상회담인 G7을 G11으로 개편 확대하자는 제안을 했다. G7(Group of Seven)은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등 서방 7개 선진국을 말한다. 속칭 ‘선진국 클럽’이다. G11은 여기에 우리나라, 호주, 러시아, 인도를 추가해 확대하자는 것이다.
G7은 1973년 오일쇼크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세계 5대 경제국(미국·영국·프랑스·서독·일본) 재무장관 회의에서 시작됐다. 2년 뒤인 1975년 2차 오일쇼크가 터지자 정상회의가 처음으로 열렸고 이듬해엔 이탈리아와 캐나다가 참여했다. 다음 해에는 러시아가 회원국 지위를 얻으면서 G8이 됐지만 2014년 크리미아 반도를 점령하면서 퇴출돼 지금의 G7이 유지되고 있다.
이들 국가의 국내총생산(GDP) 총량은 전 세계 국가 GDP의 46%가 넘을 정도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막대하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 질서의 재편은 불가피해졌다. G7 국가 중 대부분이 코로나19에 대한 대처 미흡과 함께 국가 간 협력 부족 등으로 전 세계에 ‘민낯’을 드러냈고, 1970년대 구성된 낡은 체제로는 안 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대한민국이 G7 정상회의에 참여한다면 K방역을 계기로 형성된 국제사회의 높은 평가를 바탕으로 한국의 위상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 질서를 선도하고 국제정치 무대에서 당당하게 제 역할을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중국과 일본의 반대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은 트럼프의 G7 확대의 배경으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가 깔려 있다고 보고 있다. 일본은 아시아에서 유일한 회원국이었던 자신들의 존재감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이유로 불편한 심경을 드러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안보는 미국에, 경제는 중국과 밀접한 한국은 미중 사이에서 딜레마를 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G7 합류를 위해 남은 것은 문재인 정부의 세심한 외교적 노력이다. 미중 패권 다툼 속에서 미국과 중국 간 딜레마를 어떻게 풀 것인가가 중요하다.
/최권일 정치부 부장 cki@
이들 국가의 국내총생산(GDP) 총량은 전 세계 국가 GDP의 46%가 넘을 정도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막대하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 질서의 재편은 불가피해졌다. G7 국가 중 대부분이 코로나19에 대한 대처 미흡과 함께 국가 간 협력 부족 등으로 전 세계에 ‘민낯’을 드러냈고, 1970년대 구성된 낡은 체제로는 안 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G7 합류를 위해 남은 것은 문재인 정부의 세심한 외교적 노력이다. 미중 패권 다툼 속에서 미국과 중국 간 딜레마를 어떻게 풀 것인가가 중요하다.
/최권일 정치부 부장 c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