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수도권 운영 장학숙 입사 조건 불합리 학생 차별” 시민모임, 인권위에 진정서
2019년 10월 02일(수) 04:50
수도권 대학에 진학한 지역 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설립·운영하는 ‘장학숙’의 입사 조건이 불합리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지자체가 설립·운영하는 ‘장학숙’ 입사 조건이 불합리해 학생들이 차별을 받고 있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1일 밝혔다.

시민모임이 모집 요강과 정보 공개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강원학사, 충북학사 서서울관 등은 입사생 선발기준에 성적을 70∼75% 반영했다. 경북 고령·구미·영천, 전남 나주 등의 장학숙은 4년제 대학 진학자에게만 입사 자격을 부여했고, 1억원 이상 기부자를 입사자로 추천하는 특례 선발 조항을 둔 곳도 있었다. 이와 달리 광주시와 전남도가 함께 운영하는 남도학숙은 생활 정도로 입사생을 선발하면서 장애, 유공자 등에 가산점 제도를 뒀고, 인천 강화군은 본인 또는 학부모가 직접 공개추첨 하고 저소득층은 우선 선발하도록 했다.

시민모임은 “아직도 성적, 출신 학교 등을 반영하는 곳이 많아 학생에게 높은 장벽으로 인식되기도 한다”며 “학업 지원으로 지역 인재를 키우려는 기숙사의 취지를 살릴 수 있도록 선발 방식이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