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40% 목표 충분치 않다
2019년 08월 09일(금) 04:50 가가
제니퍼 모건 그린피스 사무총장
원전 원가 태양광보다 4배 더 비싸
35개국 재생에너지 100% 전환 계획
과도기 단계 원자력발전 필요 없어
100% 재생가능에너지로 바꿔야
원전 원가 태양광보다 4배 더 비싸
35개국 재생에너지 100% 전환 계획
과도기 단계 원자력발전 필요 없어
100% 재생가능에너지로 바꿔야
![]() ![]() |
![]() ![]() |
제니퍼 모건 그린피스 국제본부 공동 사무총장. /전민규 기자 |
정부는 지난달 19일 내놓은 3차 에너지기본계획안에서 현재 7%대인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40년까지 40%가까이로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정부 스스로 “도전적인 목표”라고 밝혔을 만큼 달성하기 어려운 수치다. 그러나 2040∼2050년 70%가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과 유럽의 재생에너지 비중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전환 속도를 더 높여야 한다는 주문이 나오는 배경이다. 최근 한국을 찾은 제니퍼 모건 그린피스 국제본부 공동 사무총장도 비슷한 시각을 갖고 있다. 14일 신라호텔에서 만난 그는 “주요 선진국과 유력 정보통신기업들이 재생가능에너지로 급격히 전환하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은 이들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어 놀랍다”며 “다른 나라들은 (기후변화가) 큰 문제라는 것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정책을 세우고 실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7년부터 3년 연속 한국을 찾은 그는 “한국이 세계에서 7번째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고, 대기오염도 심각하기 때문에 한국에 관심이 많다”고 덧붙였다.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는 과정에서 원자력발전처럼 과도기 단계가 필요하다는 주장과 이에 반대하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중간 에너지원은 필요 없다. 한국의 탈원전 정책은 앞으로 60년 동안 원자력발전소 가동을 허용한다. 국제 컨설팅 회사인 라자드는 원자력의 발전원가가 태양광보다 4배 더 비싸다고 분석했다. 원자력발전은 사양산업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파리기후협약에서 탈퇴했다. 미국은 플라스틱 관련 협약에도 불참하는 등 거침이 없다.
“트럼프 대통령이 파리협약 탈퇴를 선언한 이후 미국의 지자체·교육기관 등 다양한 집단이 모여서 ‘우리는 여전히 가입해 있다(We are still in)’는 캠페인을 벌였다. 총 3733개 단체가 참여했다. 2020년 대선 예비주자들도 모두 파리협약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미국은 공화당 정부가 정권을 잡을 때마다 환경과 관련해서 지금과 비슷한 입장을 취해왔다. 한국도 마찬가지로 정권에 따라 접근이 다르다. 환경 문제가 정치적 입장이나 이슈와 같이 움직이는 이유는.
“돈 때문이다. 현행 에너지 체제에 속한 기업들이 자신들의 이익에 맞는 정당이 이길 수 있도록 정치후원금을 낸다. 내가 이해하기로는 한국에도 석탄이나 원자력 에너지 체제에서 경제적으로 이득을 보는 힘센 집단이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이런 기업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유지하기 위해서 노력한다.”
모건 사무총장은 삼성이 최근 100% 재생가능에너지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한 점을 높게 샀다. 그는 “삼성이 유럽연합(EU)이나 미국처럼 재생가능에너지 정책이 현대화된 나라에서는 약속을 이행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에너지 체제가 미흡해 목표를 달성하지 못 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한국에는 기업이 공장을 돌릴 수 있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부족하다는 말인데, 삼성의 공장이 있는 베트남은 어떤가.
“삼성이 한국에서 재생가능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 BMW나 폴크스바겐처럼 해외에선 많은 기업이 재생에너지를 쓰겠다고 선언했고, 하청 업체에게도 사용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재생가능에너지 보급률이 낮고 구매제도도 없다면 한국에 공장을 세우려는 글로벌 기업은 없을 것이다.”
그린피스는 플라스틱 쓰레기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다. 그린피스 측은 한국의 1인당 플라스틱 사용량이 많고, 배달음식 포장재에서 나오는 플라스틱도 문제라고 말했다. /한정연 기자
<광주일보와 중앙SUNDAY제휴기사입니다>
제니퍼 리 모건=1994년 미국 워싱턴DC에서 기후행동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 환경운동을 시작했다. 2009년 세계자원연구소에서 국제 기후 프로그램 디렉터를 지냈고, 2016년 4월부터 그린피스 국제본부 공동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