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톡!
2017년 08월 17일(목) 00:00 가가
웹하드 없어도 사진·글귀 저장
필요 내용 언급때만 알림 기능
투표·게시판 ‘단톡’ 재미 쏠쏠
필요 내용 언급때만 알림 기능
투표·게시판 ‘단톡’ 재미 쏠쏠
‘카카오톡’은 4200만 국민이 사용하는 ‘국민 메신저’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카카오톡의 수 많은 기능들을 잘 사용하고 있을까.
실제 주위 카카오톡 사용자들에게 사용하고 있는 기능들을 물어보면 ‘메시지 전송’, ‘사진 전송’, ‘선물하기’ 등 단순 기능에 한정됐다. 평소에 카카오톡 사용자들이 잘 몰랐던 카카오톡의 ‘숨겨진 유용한 기능’들을 살펴보자.
카카오톡 이용자 본인만 볼 수 있는 ‘나와의 채팅’ 기능을 사용하면 메모장 앱이나 사진 저장을 위한 클라우드 웹하드가 따로 필요 없다. 나와의 채팅을 이용해 필요한 메모를 남기거나 사진 및 동영상을 올려 필요할 때마다 확인할 수 있다. PC버전 카카오톡에서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사용법은 카카오톡 홈에서 자신의 프로필을 선택 후 나와의 채팅 버튼을 누르면 채팅창이 열린다.
대학 과제 조모임 등의 일회성 만남에서 서로 연락처를 등록하고 채팅방을 만드는 등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오픈 채팅방’ 기능이 있다. 누군가 오픈 채팅방을 개설하면 다른 사용자들은 해당 방을 검색후 입장만 하면된다.
움직이는 프로필 사진이 대세다.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프로필 사진 설정에서 ‘카카오스토리’로 설정하기다. 즉석으로 영상을 찍거나 스토리 속 영상을 프로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하나는 애플리케이션 ‘카카오 치즈 카메라’로 설정하기다. 얼굴과 배경을 꾸며주는 이모티콘을 활용할 수 있어 나만의 특별한 프로필을 꾸밀 수 있다.
스마트폰을 교체했을 경우 대화가 삭제되는 것을 원치 않으면 카카오톡 자체 대화 백업 기능을 사용하자. 대화는 카카오톡 클라우드에 저장되며, 사진과 영상은 저장되지 않는다. 카카오톡 ‘더보기’에서 ‘설정’을 누른 후 ‘채팅’ 메뉴에 들어가서 ‘대화 백업하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과거에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친구들과 했던 특정 이야기가 기억이 안나면 다시 물어봐야 할까? 이런 상황을 위해 대화검색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사용법은 해당 채팅방에서 ‘돋보기’ 표시를 누르고 검색 창이 뜬다. 검색 창에 찾고 싶은 해당 내용의 키워드를 검색하면 당시 채팅 화면으로 이동된다.
채팅방이 많을수록 원하는 채팅방을 찾는 것도 일이다. 자주 쓰는 채팅방을 상단에 지정하는 기능이 있다. 아이폰의 경우 원하는 채팅창을 오른쪽으로 밀면 3개의 아이콘이 뜨는데, 그중 핀셋 모양을 선택하면 상단에 고정된다. 안드로이드는 채팅방을 오래 누르면 새창이 뜨고, 새창에서 상단 지정하기를 선택하면 된다.
채팅방의 알람을 꺼놨을 때 필요한 메시지만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키워드 알람 소리도 지정할 수 있어 본래 카톡 알림과 구별할 수도 있다. 카카오톡 더보기 창에서 ‘설정’을 누르고 ‘알림’ 버튼을 누른 후 ‘키워드 알림’을 켜짐으로 바꾸고 알림 받을 키워드를 쓰면 된다.
카톡은 대화방 옆에 있는 숫자 ‘1’로 읽음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대방에게 들키지 않고 대화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면 비행기 모드를 활성화하는 팁이 있다. 데이터 모드와 와이파이도 비활성화해야 한다. 그러면 채팅방에 들어가 내용을 확인해도 카톡방에서는 ‘1’이 사라지지 않는다. 단, 대화를 읽은 후 반드시 카카오톡을 강제 종료해야 한다. 종료하지 않고 비행기 모드를 해제하면 ‘1’이 사라진다.
채팅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이모티콘이 있다면 해당 이모티콘을 찾기 위해 페이지를 찾아 넘길 필요 없이 이모티콘 목록을 조정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채팅방에 있는 스마일 버튼을 누른 후 톱니바퀴 버튼으로 들어가 이모티콘 목록 순서를 변경하면 된다.
휴대폰에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카톡 친구로 자동 추가되는 기능을 방지할 수 있다. 친구가 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그의 전화번호를 휴대폰에 입력할 때 ‘#’(샵)을 붙이면 된다. 폰 연락처 등록창에서 이름을 ‘#○○○’로 등록하는 것이다. 카카오톡은 이름 앞에 #이 붙으면 전화번호가 없는 것으로 인식한다. 단, 이미 친구로 등록된 전화번호에는 #을 붙이더라도 소용이 없다.
자신의 카카오톡에 단체 채팅방이 많다면 어디가 어떤 방인지, 누가 어떤 방에 있는지 헷갈릴 때가 많다. 이럴 때 ’채팅방 이름 설정’ 기능을 통해 단체 채팅방에 특정 이름을 붙여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해당 채팅방을 꾹 누른 후 설정 목록이 뜨면 ‘채팅방 이름 설정’ 버튼을 누르면 된다. 50자 이내로 자신이 원하는 채팅방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카카오톡에서 친구 목록을 보다보면 특정 프로필 옆에 빨간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빨간점은 카카오톡 친구가 사진이나 상태메세지, 배경음악 등으로 프로필을 업데이트 하면 표시된다. 이 빨간점은 해당 친구의 프로필을 눌러주면 사라진다.
카톡 채팅방에 쌓여 있는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청소해줘야 한다. 채팅방 내 텍스트와 이미지·영상은 스마트폰의 용량을 꽤 차지하고, 폰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주범이 되기 때문이다. ‘설정→기타→저장공간관리→캐시데이터삭제’를 차례대로 누르면 된다. 대화 내용이나 이미지는 지워지지는 않는다. 이 메뉴에 캐시 데이터 삭제가 없는 핸드폰은 환경설정 메뉴에 애플리케이션 관리 코너로 들어가 카카오톡을 선택 후 캐시 삭제 버튼을 누르면 된다.
채팅방에 저장된 사진과 대화내용을 지우고 싶으면 ‘설정→대화 내용 모두 삭제 또는 미디어 파일·일반 파일 모두 삭제’를 누르면 된다.
채팅방에서 채팅을 하다 대화 내용과 관련해 의견이 분분할 때 인터넷 창을 켜 관련 내용을 검색하려면 번거롭다. 카카오 샵(#) 검색 기능을 이용하면 카카오톡 안에서 바로 해당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사용법은 채팅창에서 샵(#) 버튼을 누른 후 해당 키워드를 검색하면 된다. 검색 결과 중 마음에 드는 콘텐츠나 정보를 해당 채팅방에 공유할 수 있다.
채팅방에서 눈에 띄게 말하고 싶다면 텍스트콘을 활용해 보자. 텍스트콘은 글자로 보내는 이모티콘을 말한다. 대화 박스 오른쪽 ‘#’ 버튼을 누르고 ‘텍스트콘’ 또는 ‘ㅌㅅㅌㅋ’을 친다. ‘직장인 어록’이나 ‘생활 명언’, ‘직접 입력’ 카테고리 중 선택해서 전송하면 개성있는 표현을 할 수 있다.
간단한 내기를 할 때는 채팅방 내 제비뽑기와 사다리타기 기능을 활용해 보자. 대화 박스 오른쪽 ‘#’ 버튼을 누르고 ‘제비뽑기’와 ‘사다리게임’을 검색하면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해 준다. 주제와 인원을 정해서 게임을 진행하면 소소한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채팅방에서 공개 또는 비공개로 투표가 가능하다. 채팅방 오른쪽 상단에 ‘채팅방 설정’ 아이콘으로 들어간 후 투표 아이콘을 선택한다. 투표 제목과 항목을 입력 후 공유하면 된다. 마감시간을 설정하거나 익명투표와 복수투표가 가능하고 참가자가 선택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단톡방에서 의견을 묻거나 약속을 정할 때 사용하면 편리하다.
-‘카카오 페이’로 간편 송금하기
-‘카카오 맵’으로 채팅방에서 길 찾기 및 길 전송
(카카오 내비 없이도 가능)
-‘카카오 드라이버’로 대리운전 이용하기
-‘카카오 택시’로 편리하게 택시 이용하기
-카카오 내비, 카카오 지하철, 카카오 뮤직, 카카오 버스, 카카오 스탁(증권앱), 카카오 포토 등의 어플이 있다.
/전은재기자 ej6621@kwangju.co.kr
실제 주위 카카오톡 사용자들에게 사용하고 있는 기능들을 물어보면 ‘메시지 전송’, ‘사진 전송’, ‘선물하기’ 등 단순 기능에 한정됐다. 평소에 카카오톡 사용자들이 잘 몰랐던 카카오톡의 ‘숨겨진 유용한 기능’들을 살펴보자.
스마트폰을 교체했을 경우 대화가 삭제되는 것을 원치 않으면 카카오톡 자체 대화 백업 기능을 사용하자. 대화는 카카오톡 클라우드에 저장되며, 사진과 영상은 저장되지 않는다. 카카오톡 ‘더보기’에서 ‘설정’을 누른 후 ‘채팅’ 메뉴에 들어가서 ‘대화 백업하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과거에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친구들과 했던 특정 이야기가 기억이 안나면 다시 물어봐야 할까? 이런 상황을 위해 대화검색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사용법은 해당 채팅방에서 ‘돋보기’ 표시를 누르고 검색 창이 뜬다. 검색 창에 찾고 싶은 해당 내용의 키워드를 검색하면 당시 채팅 화면으로 이동된다.
채팅방이 많을수록 원하는 채팅방을 찾는 것도 일이다. 자주 쓰는 채팅방을 상단에 지정하는 기능이 있다. 아이폰의 경우 원하는 채팅창을 오른쪽으로 밀면 3개의 아이콘이 뜨는데, 그중 핀셋 모양을 선택하면 상단에 고정된다. 안드로이드는 채팅방을 오래 누르면 새창이 뜨고, 새창에서 상단 지정하기를 선택하면 된다.
채팅방의 알람을 꺼놨을 때 필요한 메시지만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키워드 알람 소리도 지정할 수 있어 본래 카톡 알림과 구별할 수도 있다. 카카오톡 더보기 창에서 ‘설정’을 누르고 ‘알림’ 버튼을 누른 후 ‘키워드 알림’을 켜짐으로 바꾸고 알림 받을 키워드를 쓰면 된다.
카톡은 대화방 옆에 있는 숫자 ‘1’로 읽음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대방에게 들키지 않고 대화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면 비행기 모드를 활성화하는 팁이 있다. 데이터 모드와 와이파이도 비활성화해야 한다. 그러면 채팅방에 들어가 내용을 확인해도 카톡방에서는 ‘1’이 사라지지 않는다. 단, 대화를 읽은 후 반드시 카카오톡을 강제 종료해야 한다. 종료하지 않고 비행기 모드를 해제하면 ‘1’이 사라진다.
채팅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이모티콘이 있다면 해당 이모티콘을 찾기 위해 페이지를 찾아 넘길 필요 없이 이모티콘 목록을 조정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채팅방에 있는 스마일 버튼을 누른 후 톱니바퀴 버튼으로 들어가 이모티콘 목록 순서를 변경하면 된다.
휴대폰에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카톡 친구로 자동 추가되는 기능을 방지할 수 있다. 친구가 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그의 전화번호를 휴대폰에 입력할 때 ‘#’(샵)을 붙이면 된다. 폰 연락처 등록창에서 이름을 ‘#○○○’로 등록하는 것이다. 카카오톡은 이름 앞에 #이 붙으면 전화번호가 없는 것으로 인식한다. 단, 이미 친구로 등록된 전화번호에는 #을 붙이더라도 소용이 없다.
자신의 카카오톡에 단체 채팅방이 많다면 어디가 어떤 방인지, 누가 어떤 방에 있는지 헷갈릴 때가 많다. 이럴 때 ’채팅방 이름 설정’ 기능을 통해 단체 채팅방에 특정 이름을 붙여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해당 채팅방을 꾹 누른 후 설정 목록이 뜨면 ‘채팅방 이름 설정’ 버튼을 누르면 된다. 50자 이내로 자신이 원하는 채팅방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카카오톡에서 친구 목록을 보다보면 특정 프로필 옆에 빨간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빨간점은 카카오톡 친구가 사진이나 상태메세지, 배경음악 등으로 프로필을 업데이트 하면 표시된다. 이 빨간점은 해당 친구의 프로필을 눌러주면 사라진다.
카톡 채팅방에 쌓여 있는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청소해줘야 한다. 채팅방 내 텍스트와 이미지·영상은 스마트폰의 용량을 꽤 차지하고, 폰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주범이 되기 때문이다. ‘설정→기타→저장공간관리→캐시데이터삭제’를 차례대로 누르면 된다. 대화 내용이나 이미지는 지워지지는 않는다. 이 메뉴에 캐시 데이터 삭제가 없는 핸드폰은 환경설정 메뉴에 애플리케이션 관리 코너로 들어가 카카오톡을 선택 후 캐시 삭제 버튼을 누르면 된다.
채팅방에 저장된 사진과 대화내용을 지우고 싶으면 ‘설정→대화 내용 모두 삭제 또는 미디어 파일·일반 파일 모두 삭제’를 누르면 된다.
채팅방에서 채팅을 하다 대화 내용과 관련해 의견이 분분할 때 인터넷 창을 켜 관련 내용을 검색하려면 번거롭다. 카카오 샵(#) 검색 기능을 이용하면 카카오톡 안에서 바로 해당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사용법은 채팅창에서 샵(#) 버튼을 누른 후 해당 키워드를 검색하면 된다. 검색 결과 중 마음에 드는 콘텐츠나 정보를 해당 채팅방에 공유할 수 있다.
채팅방에서 눈에 띄게 말하고 싶다면 텍스트콘을 활용해 보자. 텍스트콘은 글자로 보내는 이모티콘을 말한다. 대화 박스 오른쪽 ‘#’ 버튼을 누르고 ‘텍스트콘’ 또는 ‘ㅌㅅㅌㅋ’을 친다. ‘직장인 어록’이나 ‘생활 명언’, ‘직접 입력’ 카테고리 중 선택해서 전송하면 개성있는 표현을 할 수 있다.
간단한 내기를 할 때는 채팅방 내 제비뽑기와 사다리타기 기능을 활용해 보자. 대화 박스 오른쪽 ‘#’ 버튼을 누르고 ‘제비뽑기’와 ‘사다리게임’을 검색하면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해 준다. 주제와 인원을 정해서 게임을 진행하면 소소한 재미를 즐길 수 있다.
채팅방에서 공개 또는 비공개로 투표가 가능하다. 채팅방 오른쪽 상단에 ‘채팅방 설정’ 아이콘으로 들어간 후 투표 아이콘을 선택한다. 투표 제목과 항목을 입력 후 공유하면 된다. 마감시간을 설정하거나 익명투표와 복수투표가 가능하고 참가자가 선택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단톡방에서 의견을 묻거나 약속을 정할 때 사용하면 편리하다.
-‘카카오 페이’로 간편 송금하기
-‘카카오 맵’으로 채팅방에서 길 찾기 및 길 전송
(카카오 내비 없이도 가능)
-‘카카오 드라이버’로 대리운전 이용하기
-‘카카오 택시’로 편리하게 택시 이용하기
-카카오 내비, 카카오 지하철, 카카오 뮤직, 카카오 버스, 카카오 스탁(증권앱), 카카오 포토 등의 어플이 있다.
/전은재기자 ej662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