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종합
정당·국회
지방의회
광주시·전남도
경제
경제종합
부동산
자동차
유통ㆍ소비자
농수산
혁신도시
사회
사회종합
교육
5ㆍ18
환경
건강
IT
문화
문화종합
문학ㆍ북스
스포츠
스포츠종합
기아타이거즈
사람들
사람들
기획
시리즈
지난기획
오피니언
칼럼
사설
기고
박진현의 문화카페
금남로에서
데스크시각
무등고
지난 시리즈
시군별뉴스
전북
나주
목포
여수
순천
광양
진도
해남
완도
고흥
강진
곡성
담양
보성
장흥
함평
화순
영광
장성
무안
구례
영암
신안
FUN&LIFE
여행
운세
오늘의 브리핑
한눈에쏙광클
포토
오늘의포토
영상뉴스
영상뉴스
Main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문화
사람들
굿모닝 예향
오피니언
시군별뉴스
FUN&LIFE
포토
영상뉴스
사회
또…광주 금호동 도시철도 공사현장 상수도관 파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얼음덩어리 기체’ 속도 못 늦추고 동체 착륙 조치도 미흡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친구·가족들과의 여행 기쁨이 악몽으로 변했다
무안국제공항, 내년 1월1일까지 임시폐쇄
불안한 정국 속 여객기 참사 더해져 ‘최악 연말’된 광주·전남
일요일 오전 광주·전남을 덮친 비극적인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지역민들을 충격에 휩싸이게 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가운데 유례가 없는 피해 규모에, 사망자 대부분이 광주·전남 거주자들로 직...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버드 스트라이크…전국 14개 지방공항 중 무안이 가장 많아
29일 제주항공 항공기 사고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추정되고 있는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 국내 공항 중 무안공항에서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드 스트라이크는 이·착륙 혹은 순항 중 새가 동체나 엔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조류 충돌로 인한 랜딩기어 이상 가능성 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사고 비행기 기종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여객기 기종은 보잉 737-800(HL8088)이다. 이 여객기는 2009년 8월 19일에 첫 비행을 해 15년된 기체다. 인도 항공사인 라이언 에어가 출고해 2017년 초까지 운용되다 2...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무안~태국 정기편 운항 20여일 만에 참사
제주항공은 지난 8일부터 무안~태국 간 첫 정기편을 운항하면서 동계 지역 여행객 유치에 나섰다가 20여일 만에 최악의 참사를 냈다. 29일 전남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지난 8일 밤 오후 8시 50분 무안국제공항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광주시·전남도 재난대책본부 가동…사고 수습 총력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우리 엄마 살려내라”…탑승객 가족 대기실 ‘통곡의 바다’
“시간이 안 맞아 인천공항 이용했어요”
윤석열 ‘발포 명령’
검찰 조사결과 윤석열 대통령이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에게 전화해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라”고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의 계엄해제안 가결 이후에도 이 사령관에게 ‘2·3번 계엄령 선포하면 된...
제주항공 착륙 사고 탑승객 가족, “정확한 설명없어” 분통
무안 제주항공 사고 탑승자 가족 대기실 통곡이어져
무안공항 여객기 추락 버드스트라이크 추정
무안공항 항공기 추락
<
109
110
111
112
>
실시간 핫뉴스
1
전남도 관광재단, 지역 자원 활용한 관광 창업자 발굴, 지원 나서
2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에 김영문 전 사회통합비서관 임명
3
[오늘의 지면] 시민·소상공인들에게 활기 넣어준 ‘민생회복 소비쿠폰’
4
함평군 소속 공무원, 광주서 음주 측정 거부로 입건
5
제조업체 공장서 일하던 도중 마약 흡입한 30대 구속
6
전남도 ‘나주 벽돌공장 인권침해 사건’ 후속 대책에…인권단체 “근본적 대책 빠져”
7
달리던 화물차 적재함서 대형화물 추락…잇따른 추돌사고로 1명 중상
8
[광클] 광복 80주년 기념 ‘기록사랑 공모전’ 8월 1일 개최
9
KIA 7연패 탈출…변우혁, 눈물의 결승타
10
수문장 김경민 “광주FC 승리 위해 전진”
많이 본 뉴스
1
“RE100 산단 전남에 조성… 에너지 흐름 바꿔야”
2
차세대 전력망 혁신 기지 전남에 구축한다
3
KIA 7연패 탈출…변우혁, 눈물의 결승타
4
뉴캐슬 잡은 이정효 “자신감 생겼다 … 유럽팀 안 두려워”
5
소비쿠폰 효과 만점…소상공인도 소비자도 활기
6
“분권형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 산업도 전력따라 지방으로”
7
또…광주 금호동 도시철도 공사현장 상수도관 파열
8
재생에너지 생태계 메카 전남, 차세대 전력망 빛본다
9
쌀·소고기 지켰지만 車 관세 ‘15%’ 아쉽다
10
함평군 소속 공무원, 광주서 음주 측정 거부로 입건
오피니언
더보기
사설
‘RE100산단 최적지 전남’ 확인한 에너지 포럼
박진현의 문화카페
뮤지엄 X 즐기다
광주일보 PC버전
Copyright © 2016 광주일보. All Rights Reserverd.
검색 입력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