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컴퓨팅센터 불발’ 광주에 새 기회 열리나
2025년 10월 29일(수) 18:55 가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광주는 준비된지역...충분히 고려"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센터 광주 유치가 사실상 무산되며 큰 충격에 빠졌던 광주시에 긍정적인 시그널이 제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광주시의 선도적인 노력을 인정하며 후속 사업 추진 가능성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지역 사회는 부처의 입장이 실질적인 지원으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배 부총리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현(경기 안산을)의원이 “광주는 다른 도시가 신경 쓰지 않을 때부터 7~8년간 선도적으로 AI를 준비했는데 유치 무산에 지역 사회가 경악하고 있다”고 지적하자 이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배 부총리는 “광주가 오랫동안 선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온 점을 알고 있다”고 답하며 사실상 광주시를 ‘준비된 지역’으로 인정했다
그러면서 “과기부는 AX(인공지능 전환) 분야와 연구소 설립 등 AI 관련 사업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서 “사업을 추진할 때 준비된 지역을 충분히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AI 중심도시 조성을 내걸고 지난 수년간 데이터센터·산학연 생태계 구축을 추진해온 광주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 셈이다.
이는 국가 AI 컴퓨팅센터 최종 입지에서 광주가 탈락한 이후 해당 부처가 처음으로 내놓은 간접적인 입장표명이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배 부총리가 직접 “준비된 지역을 고려하겠다”고 언급함에 따라 후속 AI 인프라 구축사업에 광주가 포함될 여지가 커졌다는 평가다.
배 부총리는 이번 공모 과정에서 “컴퓨팅 인프라 구축은 정부가 밀어붙이는 부분도 있고, 민간과 협력하는 부분도 있으며 이번에는 공개적으로 민간의 의견을 들었다”고 설명했다. 사실상 효율성과 사업성만을 앞세운 민간 컨소시엄의 결정이 그대로 국가 정책이 됐다는 광주시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이로 인해 지난 수년간 AI 집적단지 조성을 위해 430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과 집적단지센터, 대규모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인프라AI 생태계를 착실히 일궈온 광주시의 노력은 허공에 뜨게 됐다.
배 부총리가 언급한 “AI 연구소 수립”은 국가컴퓨팅센터 무산 이후 광주시가 줄곧 요구해온 ‘후속 보완대책’으로,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연구소급 국가기관이나 GPU 집적형 클러스터가 추가될 경우, 지역 AI 산업의 구조적 확장이 가능하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시 관계자는 “광주는 초거대 AI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이미 검증된 도시로, 중앙정부의 후속 정책이 구체화되면 빠르게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은 정부가 이번 결정을 통해 드러난 정무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라도, 광주와 같은 선도 지역에 현실적 보완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광주는 ‘AI 센터 탈락’이 아니라 ‘AI 인프라 2단계 진입’의 출발점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의 준비된 역량과 정치권의 지속적인 논의가 결합된다면, 광주는 대한민국 AI 산업의 균형발전을 이끌 차기 거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점에서다. 실제 광주시는 컴퓨팅센터 유치 실패 직후 정부에 제2국가 컴퓨팅센터 조성과 같은 초대형 인프라를 광주에 설립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광주시의 선도적인 노력을 인정하며 후속 사업 추진 가능성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지역 사회는 부처의 입장이 실질적인 지원으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배 부총리는 “광주가 오랫동안 선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온 점을 알고 있다”고 답하며 사실상 광주시를 ‘준비된 지역’으로 인정했다
AI 중심도시 조성을 내걸고 지난 수년간 데이터센터·산학연 생태계 구축을 추진해온 광주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 셈이다.
배 부총리가 직접 “준비된 지역을 고려하겠다”고 언급함에 따라 후속 AI 인프라 구축사업에 광주가 포함될 여지가 커졌다는 평가다.
배 부총리는 이번 공모 과정에서 “컴퓨팅 인프라 구축은 정부가 밀어붙이는 부분도 있고, 민간과 협력하는 부분도 있으며 이번에는 공개적으로 민간의 의견을 들었다”고 설명했다. 사실상 효율성과 사업성만을 앞세운 민간 컨소시엄의 결정이 그대로 국가 정책이 됐다는 광주시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이로 인해 지난 수년간 AI 집적단지 조성을 위해 430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과 집적단지센터, 대규모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인프라AI 생태계를 착실히 일궈온 광주시의 노력은 허공에 뜨게 됐다.
배 부총리가 언급한 “AI 연구소 수립”은 국가컴퓨팅센터 무산 이후 광주시가 줄곧 요구해온 ‘후속 보완대책’으로,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연구소급 국가기관이나 GPU 집적형 클러스터가 추가될 경우, 지역 AI 산업의 구조적 확장이 가능하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시 관계자는 “광주는 초거대 AI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이미 검증된 도시로, 중앙정부의 후속 정책이 구체화되면 빠르게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은 정부가 이번 결정을 통해 드러난 정무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라도, 광주와 같은 선도 지역에 현실적 보완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광주는 ‘AI 센터 탈락’이 아니라 ‘AI 인프라 2단계 진입’의 출발점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의 준비된 역량과 정치권의 지속적인 논의가 결합된다면, 광주는 대한민국 AI 산업의 균형발전을 이끌 차기 거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점에서다. 실제 광주시는 컴퓨팅센터 유치 실패 직후 정부에 제2국가 컴퓨팅센터 조성과 같은 초대형 인프라를 광주에 설립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